
뉴욕증시가 5일(현지 시간) 동반 약세로 마감했다. 미·중 등 주요국 간 관세 협상이 답보 상태를 보이는 가운데 단기 급등에 대한 숨 고르기 조정이 이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8.6포인트(-0.24%) 내린 4만1218.83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보다 36.29포인트(-0.64%) 하락한 5650.38을 기록하며 9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멈췄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133.49포인트(-0.74%) 떨어진 1만7844.24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2004년 이후 최장기간인 9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지만 오름세를 더 이어가지는 못했다. CNBC는 관세 협상 불확실성이 시장에 부담을 주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다른 국가 간 관세 관련 합의 일정에 대해 의구심을 숨기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우리는 일부 합의에 매우 근접해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언급은 삼간 채 ‘이르면 이번 주 중 합의할 것’이라는 취지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기존 언급을 반복했다.
시가총액 상위권을 차지하는 거대 기술기업 M7은 혼조세를 보였다. 애플(-3.15%), 테슬라(-2.42%), 아마존(-1.91%), 엔비디아(-0.59%) 등 대형 기술주들은 일제히 하락했다. 반면 MS(0.2%), 알파벳(0.14%), 메타(0.38%)는 상승했다.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올해 말 은퇴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버크셔 주가는 이날 5.12% 급락했다.
콘텐츠 업계도 하방 압력을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워너브라더스디스커버리(-1.99%)와 넷플릭스(-1.94%) 등 주요 콘텐츠 관련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