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단독] “애 낳는 걸 눈치봐야 하나요”...역시 대기업 소리가 절로 나오는 육아휴직 사용률

코스피 기업 육아휴직 사용률 개선
코스닥 상장사는 상대적으로 저종

  • 김대은
  • 기사입력:2025.04.27 14:02:01
  • 최종수정:2025-04-27 15:21:37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코스피 기업 육아휴직 사용률 개선
코스닥 상장사는 상대적으로 저종
사진은 기사내용과 상관없음. 매경DB
사진은 기사내용과 상관없음. 매경DB

올해부터 상장사가 사업보고서 제출 시 육아휴직 사용률을 표기하도록 하면서 코스피 주요 기업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다만 상대적으로 기업규모가 작은 코스닥 기업은 육아휴직 사용률이 여전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34.5%에서 2024년 39.5%로 소폭 개선됐다.

이는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크게 높아진 덕분이다. 2022년 이곳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8.3%에 불과했으나, 2024년에는 13.6%로 대폭 올랐다.

반면에 여성 직원의 사용률은 97.0%에서 97.8%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LG에너지솔루션도 같은 기간 23.8%에서 31.7%로, 삼성바이오로직스도 28.0%에서 34.0%로 육아휴직 사용률이 대폭 개선됐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여성 직원의 사용률이 소폭 줄어든 반면 남성 직원 사용률이 2배 가까이 늘어 눈길을 끌었다.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육아휴직 사용률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육아휴직 사용률

반면에 코스피 주요 기업 중에서 육아휴직 사용률이 뒷걸음친 곳도 있었다. SK하이닉스는 육아휴직 사용률이 2022년 7.8%에서 2024년 6.6%로, 같은 기간 현대차도 17.0%에서 15.0%로 소폭 감소했다.

코스닥 기업 중에서는 시가총액 1위 알테오젠이 2022년 0.0%에서 2024년 28.6%로 육아휴직 사용률이 매우 큰 폭의 개선을 나타냈다.

지난해 직원 수가 총 154명이었던 이곳은 남녀 각각 3명씩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반면에 에코프로비엠은 2.0%에서 6.8%, 에코프로는 1.0%에서 4.0%로 개선은 이뤄지고 있으나 여전히 낮은 육아휴직 사용률을 보였다.

지난해 에코프로비엠은 여성의 사용률이 100%였으나 남성 사용률이 8.5%에 불과했고 에코프로는 남녀 사용률이 각각 1%, 15%로 모두 낮은 편이었다.

특히 HLB와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둘 다 3년 내내 육아휴직 사용률이 0%였다. 각각 직원이 168명, 91명에 불과해 인력 이탈을 막기 어려웠던 것으로 풀이된다.

육아휴직 사용률은 해당연도 출생 자녀를 가진 직원 중 출생일 1년 이내 육아휴직 사용 이력이 있는 직원 수의 비율로 계산한다.

육아휴직률 기업공시제도

육아휴직률 기업공시제도

상장사가 직원들의 육아휴직 사용 현황을 외부에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일·가정 양립, 고용 평등, 육아휴직 활성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코스피·코스닥 상장기업 전체가 2025년부터 육아휴직 사용률(남녀 구분 포함)을 의무 공시해야 합니다.

육아휴직 사용자 수 ÷ 사용 가능자 수 × 100 공식으로 산정하고, 매년 1~12월 실적을 다음 해 상반기에 공시합니다.

출산율 저하, 남성 육아휴직 장려, ESG 경영 강화 흐름을 반영하여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기업의 육아휴직 문화 확산, 남성 육아참여 확대, 인재 확보 강화 등의 긍정적 효과가 기대됩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기업공시 서식을 개정해 상장기업이 남녀 육아휴직 사용률을 반드시 공개하도록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