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시장 거래량도 급감
![27일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앞에 아파트 거래 금액이 붙어 있다. [김호영 기자]](https://wimg.mk.co.kr/news/cms/202507/22/news-p.v1.20250627.6735ac0e51d44adcb530718e765aca39_P1.jpg)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는 거래량 감소뿐만 아니라 거래되는 가격대와 면적 모두 축소되는 분위기다. 대출 제한에 따라 자금 부담이 확대되면서 거래 가능한 아파트의 조건 자체가 변화하자 수요자들의 선택 기준 또한 달라졌다는 평가다.
22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아파트의 중위 거래가격은 대책 전보다 약 1억6000만원 하락, 전용면적은 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도 대책 전 대비 73% 감소하며 시장이 빠르게 관망세로 돌아선 모습이다.
올해 6월 10일부터 지난 15일까지의 실거래가를 분석해 대책 발표 전후의 흐름을 비교한 결과 발표 전 수도권 아파트의 중위 거래는 6억6000만원, 전용면적 84㎡였으나 발표 이후 중위 거래가격이 5억원, 전용면적은 75㎡로 작아졌다. 같은 기간 거래량도 2만474건에서 5529건으로 급감하며 거래 시장이 급속히 위축됐다.

서울은 가격·면적·거래량 모두 줄며 정체 흐름이 뚜렷했다. 대책 전 7150건이었던 거래량은 1361건으로 줄었고, 중위 거래가격은 10억9000만원에서 8억7000만원으로 약 2억2000만원 낮아졌다. 거래된 전용면적도 84㎡에서 78㎡로 줄며 더 작은 면적대 아파트의 거래가 늘어난 경향을 보였다.
특히 고가 단지가 밀집된 강남권에서는 대출 규제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되며 고가·대형 평형의 거래가 크게 위축된 모습이다.
강남구는 중위 거래가격이 29억 원에서 26억원으로 약 3억원 낮아졌고, 서초구는 23억7500만원에서 19억6500만원으로 낮아졌다. 거래량은 134건에서 13건으로 급감했다. 송파구는 상대적으로 조정폭이 적었다. 중위가격이 16억5000만원에서 16억2000만원으로 소폭 하락하고 거래량은 339건에서 118건으로 줄었다. 거래된 면적은 대책 전후 모두 85㎡로 유지되며 정체기를 보이고 있지만 일정 수준의 수요가 중형 평형을 중심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평가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도 대책 이후 거래량과 거래가격 모두 조정을 피해 가지 못했다. 전용면적은 대책 전후 모두 85㎡ 수준으로 유지됐음에도 불구하고, 마포구의 중위가격은 15억2750만원에서 12억2000만원으로 낮아졌다. 용산구는 18억500만원에서 15억4000만원으로, 성동구는 15억8000만원에서 14억600만원으로 중위가격이 낮아졌다.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서울 노원구 일대 전경. [박형기 기자]](https://wimg.mk.co.kr/news/cms/202507/22/news-p.v1.20250630.c7b0118484024560a53d4365fcf29e09_P1.jpg)
6·27 대출 규제 이후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이나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 중저가 지역에서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가격이 오르기보다는 대부분 지역에서 중위 가격이 낮아졌고 거래량 역시 둔화되며 관망 흐름이 이어졌다. 결국 중저가 지역에서도 뚜렷한 상승세보다는 제한된 자금 여건 속에서 차선의 평형과 가격대를 택하는 수요자 중심의 조심스러운 거래가 주를 이뤘다는 분석이다.
한편 과천시는 거래량 자체는 극히 적었지만 ‘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27억원), ‘과천푸르지오써밋’(20억8500만원) 등 고가 신축 단지의 단일 거래가 중위가격을 끌어올렸다. 이는 시장 전반의 흐름을 대표하기보다 거래 수가 적은 상황에서 고가 단지 중심의 일부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직방은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단기간 내 거래량, 면적, 가격 모두 하향 조정되는 흐름 속에 빠르게 관망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며 “거래 가능한 아파트의 조건 자체가 바뀌며 중소형·실현 가능한 가격대 중심의 거래가 증가했고, 이는 심리적 위축이라기보다 자금 여건과 대출 가능 범위에 따른 ‘선택 구조의 재편’이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거래 자체가 급감한 상황에서 나타난 현상이기에 현재의 조정 흐름이 일시적 착시인지 구조적 전환의 신호인지는 좀 더 시간을 두고 관찰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금리·대출 규제 변화, 추가 정책의 방향성에 따라 수요자의 선택 기준과 거래 흐름 역시 다시 조정될 여지가 있으며 당분간은 제도 변화에 대한 적응과 관망이 병행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