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22년 베테랑 안보전문기자가 파헤친 尹정부 ‘일그러진 장군의 초상’

12·3비상계엄의 긴박했던 막전막후 추적 박성진 안보22대표 ‘용산의 장군들’ 출간 계엄시 軍출동 주역 ‘충암·용현파’ 분석해

  • 김성훈
  • 기사입력:2025.01.10 15:22:20
  • 최종수정:2025.01.10 15:22:20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12·3비상계엄의 긴박했던 막전막후 추적
박성진 안보22대표 ‘용산의 장군들’ 출간
계엄시 軍출동 주역 ‘충암·용현파’ 분석해
사진설명

20년 이상 군사·안보 문제에 천착했던 베테랑 기자가 12·3 비상계엄을 분석·재구성한 책을 10일 출간했다.

이날 박성진 전 경향신문 안보전문기자는 6시간 만에 실패로 끝난 12·3 비상계엄의 막전막후를 밝힌 책 ‘용산의 장군들(메디치미디어·1만 8000원)’을 펴냈다. 22년 동안 국방부를 출입하며 16명을 거치고 군사·안보 문제에 집중했던 박 기자는 정년퇴임 이후 현재 안보문제연구소인 ‘안보22’를 운영하며 프리랜서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이번에 내놓은 책 ‘용산의 장군들’에서 12·3 비상계엄 당시 핵심 부대 지휘관들이 ‘정당한 명령’이 아닌 명령을 따른 이유를 집중 분석했다. 또 윤석열 군부의 핵심 세력의 실체와, 이들의 카르텔인 ‘충암·용현파’가 추진했던 친위 쿠데타 계획에 대해서도 세밀하게 짚어냈다.

이 책은 윤석열 군부의 핵심 세력은 누구이며, 이들이 어떻게 빌드업(예비 공작) 과정을 거쳐 계엄 사태를 만들어 갔는지도 자세하게 서술한다.

박 기자는 이 책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잘못된 브로맨스’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이 둘의 만남에서 ‘미니 하나회’에 다름아닌 ‘충암파’와 ‘용현파’가 등장했다고 박 기자는 설명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해병대 채상병 사망사건을 비롯해 윤석열 정부에서 군의 토대를 무너뜨렸던 여러 사안들을 추적해서 풀어냈다. ‘용현파’로 분류되는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 △문상호 국군정보사령관에 관한 이야기와 12·3 비상계엄 사태까지 연결된 다양한 사건도 몰입감 있게 엮어냈다.

박 기자는 “12·3 불법계엄 사태뿐 아니라 한국군의 뿌리 깊은 문제는 진급을 미끼로 한 충성 경쟁에 있다”면서 “이는 과거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반복되어 온 고질병”이라고 단언했다. 이어 지장, 덕장, 용장보다 ‘운장’이 우선하는 한국군의 상황을 에두르지 않고 지적한다.

그는 이 책을 통해 “국방부 장관은 대통령의 명령을 무조건 따라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국방 철학을 교감하기 위해 대통령에게도 끊임없이 질문을 던질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 장교 교육과정에서도 ‘시민으로서의 군인’ 교육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한편 이 책의 부록에서는 윤석열 대선 캠프에서 활동하던 김용현 전 장관에게 가장 먼저 용산 이전을 제안했던 박 기자의 비하인드 스토리도 담겼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