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Book] “내가 타려는 엘리베이터는 항상 늦게 오는 걸까?” 신간 소개 『보이는 모든 것을 의심하라』外

수학자인 저자가 ‘왜 내가 타려는 엘리베이터는 항상 늦게 오는 걸까?’처럼 우리 일상에서 마주하게 되는 60개의 역설들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당연시돼온 명제나 현상들에 질문을 던지고, 또 세상의 부조리를 들여다본다.

  • 송경은(매일경제 기자, 외부기고자)
  • 기사입력:2025.04.29 20:47:37
  • 최종수정:2025.04.29 20:47:37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수학자인 저자가 ‘왜 내가 타려는 엘리베이터는 항상 늦게 오는 걸까?’처럼 우리 일상에서 마주하게 되는 60개의 역설들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당연시돼온 명제나 현상들에 질문을 던지고, 또 세상의 부조리를 들여다본다.

무심코 지나쳤던 일상의 역설들
『보이는 모든 것을 의심하라』
조지 G. 슈피로 지음 / 이혜경 옮김 / 현암사 펴냄
조지 G. 슈피로 지음 / 이혜경 옮김 / 현암사 펴냄

특정 후보자 A를 지지하는 시민들을 가정해 보자. 이 시민들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A를 지지하지만, 동시에 열렬한 민주주의 신봉자이기도 하다. 만약 개표 결과 상대 후보자 B가 더 많은 표를 얻는다면 딜레마가 발생한다. 후보자 A를 원하지만 후보자 B가 과반수 이상의 표를 얻게 된 상황에서 나의 지지와 민주주의 가치가 충돌하기 때문이다. 영국의 철학자 리처드 울하임(Richard Wollheim)은 이처럼 민주적인 유권자들이 겪는 내적 갈등을 ‘민주주의의 역설’이라고 명명했다.

이 책의 저자이자 수학자인 조지 G. 슈피로는 일상적인 사례를 통해 당연시돼온 명제나 현상들에 질문을 던지며 우리 삶 전반을 파헤친다. ‘0.9999…는 정말 1과 같을까’(무한소의 역설), ‘합법적인 2가지 행동이 합쳐질 때 어떻게 불법이 될 수 있는가’(협박의 역설), ‘스스로 면도하지 않는 세비야의 모든 남성을 면도해야 하는 세비야 이발사가 있다면 그는 자기 자신도 면도해야 하는가’(이발사의 역설) 등 때로는 말장난 같고, 때로는 사고력 시험 문제 같은 이야기들로 복잡한 인간 행동과 세상의 이치를 살펴본다. 이 책을 덮는 순간 당신은 보이는 모든 것을 의심하게 될지 모른다.

창업자와 투자자가 맞손을 잡는 방법
『창업자와 투자자』
전석우·투잘 지음 / 파지트 펴냄
전석우·투잘 지음 / 파지트 펴냄

투자자와 창업자는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공생의 관계지만 종종 서로를 폄훼하고 비난하곤 한다. 창업자는 사업을 키우기 위해서 투자자의 자금이 필요하고, 투자자는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똘똘한 창업자를 찾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불협화음이 발생하곤 한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아무리 혁신적으로 보이는 아이디어라도,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팀의 역량이 보이지 않는다면 투자를 꺼릴 수밖에 없다. 좋은 학벌이나 화려한 스펙보다 실제로 일을 제대로 해낼 수 있는 창업자의 실행력이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는 것이다. 창업자들도 억울하다. 현장에서는 실제 경험과 전문성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결국 투자 심사 과정에서 학벌을 따지고 이전 경력을 중요하게 보는 이중적인 태도가 만연한 탓이다.

이 책은 창업과 투자의 전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 총체적으로 사안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해준다. 그 과정 끝에서 저자들은 투자자의 간섭과 개입에 대해 흔들리지 않는 창업자의 확신과 사업모델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송경은 매일경제 기자] [사진 각 출판사]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977호(25.04.29)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