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대통령이 전화해 불호령...권력의 서슬퍼런 질타에 물러선 아마존

  • 최현재
  • 기사입력:2025.04.30 22:24:49
  • 최종수정:2025.04.30 22:24:49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아마존 로고. [연합뉴스]
아마존 로고. [연합뉴스]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일부 상품 가격에 관세 영향으로 추가된 금액을 별도로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철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공개적으로 아마존 계획을 거세게 비난한 데 따른 것이다.

29일(현지시간) 미국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이날 성명을 통해 “초저가 상품 ‘아마존 홀’ 스토어 운영팀이 특정 제품에 수입 비용을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면서도 “이는 결코 승인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부터 운영에 들어간 아마존 홀은 주로 20달러 이하의 초저가 상품을 판매하는 플랫폼이다.

앞서 이날 미국 정치매체 펀치볼뉴스는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아마존이 일부 상품 가격 표시에 관세 비용을 별도 표기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아마존 계획이 보도된 직후 트럼프 행정부는 압박에 나섰다. CNN은 백악관 고위 관계자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에게 전화를 걸어 불만을 표시했다고 보도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도 “관세는 사실상 어떤 가격도 바꾸지 않을 것”이라며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비난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아마존 계획에 대해 “적대적이고 정치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공세가 거세지자 아마존은 성명을 통해 계획을 철회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제프 베이조스는 괜찮은 사람”이라며 “문제를 빠르게 해결했다. 그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다만 백악관이 아마존에 대해 강도 높은 공개 질타를 한 점은 트럼프 대통령과 베이조스 창업자 사이 새 갈등을 보여주는 신호일 수 있다고 CNBC는 전했다. 아마존은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100만달러를 기부했으며, 베이조스 창업자가 취임식에 직접 참석하며 우호적 관계 구축에 나섰다. 그러나 145%에 이르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관세 부과로 인해 중국산 제품 비중이 높은 아마존 전자상거래 사업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