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해명한 내용은 거짓 입증”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 등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채용비리 진상조사단’ 참여 의원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외교부의 특혜 제공 의혹을 제기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4/03/rcv.YNA.20250403.PYH2025040304840001300_P1.jpg)
더불어민주당이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의 채용 특혜 의혹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의혹 진상 규명을 위해 출범한 진상조사단은 필요한 경우에는 대검찰청을 항의방문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해당 의혹을 처음 제기한 한정애 진상조사단장은 3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외교부와 국립외교원은 ‘특혜가 아니다’고 했지만 진상조사단이 파악한 근거 중심으로 외교부가 거짓해명을 하고 있다”며 “외교부가 그간 밝힌 내용은 새빨간 거짓임이 자료로 입증됐다”고 밝혔다.
진상조사단은 “국립외교원은 심 총장 자녀의 응시자격 미달문제에 대해 ‘그간 응시생들이 학위취득예정서 제출하면 자격요건을 갖추는 것으로 인정해 왔다’며 심 총장 자녀에 대한 극진한 배려는 없었다고 밝혔다”며 “심 총장 자녀가 지원한 ‘다급 채용과정’에서 석사학위 취득예정자가 채용된 사례는 심 총장 자녀가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또 조사단은 “외교부는 재공고 통해 응시자격을 변경한 두 건의 사례 제시했다”며 “외교부 전체 공무직 채용과정에서 응시자격인 전공분야를 변경한 사례는 이번에도 심 총장 자녀 건이 유일무이하다”고 말했다.
조사단 이용우 의원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채용과정에서 ‘미외교정책 및 한미동맹 분야’를 ‘미 외교정책’으로 단순 변경한 사례와 국립외교원 기계사원채용과정에서 당초 ‘에너지 관리기능사 이상 자격증 소지자’에서 ‘해당분야 경력 2년 이상’으로 응시자격 변경한 두 사례는 모두 최초 공고한 범위 내에서 변경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민주당은 심 총장의 자녀가 국립외교원 채용과정에서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고, 외교부가 올해 1월 ‘경제 분야 석사학위 소지자’를 대상으로 공무직 연구원 채용공고를 냈다가 한달 뒤 2차 공고에서 심 총장 자녀의 전공 분야인 ‘국제정치 분야’로 바꾼 점 등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한 의원은 “오늘 대정부 상대 현안질의도 있지만 심 총장이 (자녀 외교부 채용 과정에) 얼마나 깊숙이 관여됐는가 의혹 떨칠 수 없다”며 “진상조사단은 필요하다면 대검찰청을 항의방문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한정애·백승아 의원 등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채용비리 진상조사단’ 참여 의원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외교부의 특혜 제공 의혹을 제기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4/03/rcv.YNA.20250403.PYH2025040304830001300_P1.jpg)
또 진상조사단은 심 총장 자녀 외교부 특혜 채용 의혹과 관련 박장호 외교부 외교정보기획국장의 연관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한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박 국장과 심 총장의 접점이 나온 것은 없지만 심 총장의 딸이 석사학위를 받은 학교와 박 국장이 석사학위를 받은 곳이 동일하다”며 “기간 차이는 좀 자겠지만 동문이라고 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진상조사단은 심 총장 자녀의 외교부 특혜 채용 의혹, 서민 정책금융 대출 의혹, 장학금 특혜 수령 의혹 등에 대해 진상을 파악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법적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한정애·김성회·고민정·강준현·이용우·홍기원·김영배·백승아 의원 등이 참석했다.
한편 외교부는 민주당의 이같은 의혹 제기에 대해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했다. 외교부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채용에 대한 결정은 유보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