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답복기 학습 기법 개발해 성능 향상
게임 AI 고도화를 위한 한국형 LLM 개발
![[사진 = 크래프톤]](https://wimg.mk.co.kr/news/cms/202507/28/news-p.v1.20250728.c9b3c8546ab04b5fb65079555610afc4_P1.jpg)
크래프톤과 SK텔레콤이 공동으로 개발한 추론 특화 언어 모델 3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한 모델은 수학 문제 해결과 코드 개발에 특화된 소형 언어 모델로, 70억개 파라미터 규모다.
크래프톤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학습 기법을 적용한 이 모델은 수학 추론 벤치마크 AIME 25에서 성능 향상을 기록했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수학은 공간지각과 논리 추론 역량이 요구되는 영역으로, 게임을 포함한 고난도 추론 분야와 기술적으로 밀접한 연관성을 갖기 때문에 해당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게임 중심의 인공지능(AI) 기술 확장 가능성도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크래프톤과 SK텔레콤은 언어 모델을 공동 개발하며 각각 학습 기법 개선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모델의 품질과 성능 고도화에 기여했다.
크래프톤은 기존 모델의 취약점을 분석해 이를 개선하는 오답 복기 학습 기법을 자체 개발했다. 해당 기법은 틀린 문제의 정답을 찾아 오답과 비교해 학습하며, 추론 정확도와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전략적 학습 방식이다.
SK텔레콤은 데이터 검증과 모델 학습의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여, 모델의 품질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김지원 SK텔레콤 AI Model Lab 장은 “양사의 기술로 고성능 언어 모델을 개발해 소버린 AI 전략 실현의 초석을 마련했다”면서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통해 AI 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데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 본부장은 “이번 SKT와의 협업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대형 언어 모델 개발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크래프톤은 독자적인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를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크래프톤은 이번 언어 모델에 적용한 학습 기법을 게임 플레이 분석, 전략 판단 등 게임 특화형 AI 응용 기술 고도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언어 모델은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인 허깅페이스(Hugging Face)를 통해 공개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크래프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공모에서 SK텔레콤 컨소시엄에 참가 중이다. SK텔레콤 컨소시엄은 지난 25일 발표된 1차 심사에 통과해 압축된 10개 팀에 포함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