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지정 관련 법적근거도 논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진숙·안도걸·신정훈·서미화 의원은 서남권 첨단 바이오헬스 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9일 국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대한민국 첨단의료산업 강국 도약을 위한 서남권 첨단 바이오헬스복합단지 조성 전략 포럼’이 열린다. 이번 포럼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공동 주관한다 .
이번 자리는 급변하는 보건의료 환경과 초고령화, 저성장 국면 속에서 디지털·바이오 의료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광주·전남 지역에 서남권 첨단 바이오헬스복합단지를 조성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또 바이오헬스단지 지정과 관련해 법적 근거를 신설하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도 함께 논의한다.
이날 포럼에서는 선경 K-헬스미래추진단장이 ‘서남권 바이오헬스복합단지 필요성과 전략’을 주제로 발제한다. 강대희 한국미래의료혁신연구회장이 좌장을 맡아 토론을 진행한다 .
토론에는 최종일 조선대 교수, 정신 전남대병원장, 이제중 박셀바이오 대표, 김한숙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과장,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참여해 정책적·산업적 추진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
전 의원은 “디지털·바이오 의료기술은 초저성장 위기와 보건의료 불평등을 돌파할 국가 안보 차원의 전략 기술”이라며 “관련 인프라가 집적된 광주·전남에 복합단지를 추가 지정해 디지털·바이오 의료기술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21대 대선 당시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께 약속드린 ‘디지털 헬스 산업 육성’과 ‘서남권 메가시티’ 구상을 국민주권 정부의 구체적인 정부과제로 실현할 시점”이라며 “오늘 토론회에서 제안된 내용을 적극 검토해 관련 법안 개정과 재정 확보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광주는 국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광주테크노파크,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의과학융합연구소 등 AI·의료기술을 기반으로 한 의료기기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화순 백신산업특구를 중심으로 백신·면역치료 분야에서 국가 보건안보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 중이다.
광주광역시·전라남도가 수행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계획 수립 연구’에 따르면 광주·전남 지역에 복합단지를 유치할 경우 약 2조원의 생산 유발효과와 1조원의 부가가치, 1만1500여명의 고용 창출이 예상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