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말레이시아까지 겨냥
동남아 국가의 칩 수출에
사전승인 요건 도입 검토
![미국, AI칩 中 수출 막기 위해 태국, 말레이시아도 겨냥 [그림=챗GPT]](https://wimg.mk.co.kr/news/cms/202507/06/news-p.v1.20250706.18f84992dfb54dcba179af369100a466_P1.png)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중국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에 대한 수출도 제한할 것이라고 블룸버그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가 마련한 초안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시행까지 일부 조정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는 바이든 정부가 만든 ‘AI 확산 규칙(AI Diffusion Rule)’을 공식 폐기하고 트럼프 행정부식의 강경 통제 전략으로 전환하는 첫 조치로 평가된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규제는 말레이시아와 태국을 통한 반도체 밀수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조치로, 미국산 AI 칩을 이들 국가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미국이 중국에 대해 고성능 AI 반도체 판매를 사실상 금지한 가운데, 동남아 경유 루트를 차단하려는 전략이다.
앞서 바이든 정부는 2022년부터 중국을 대상으로 한 반도체 수출 규제를 시작해 2023년 40여 개 국가로 확대했고, 동맹국 반발을 고려해 일정 부분 유연한 접근을 시도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비효율적’이라고 보고 강도 높은 규제로 재정비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와 태국은 최근 AI 칩 수입이 급증한 국가다. 오라클을 포함한 기업들이 말레이시아에 데이터센터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 과정에서 고성능 칩이 중국에 흘러 들어갈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실제로 싱가포르에서는 말레이시아로 반도체 서버를 수출하며 최종 목적지를 조작한 혐의로 세 명이 기소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법안 초안에 공급망 차질을 막기 위한 예외 조항도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미국 본사를 둔 기업이나 우방국 소재 기업의 경우, 시행 후 수개월간은 별도 승인 없이 칩을 수출할 수 있는 유예 기간이 부여될 수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