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지 이틀째인 29일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에 유심 재고 수량 안내문이 놓여 있다. 이날 해당 대리점에서는 직원이 나와 오늘 준비된 유심이 20개뿐이라며 인터넷을 통해 신청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5.4.29 [이승환 기자]](https://wimg.mk.co.kr/news/cms/202504/29/news-p.v1.20250429.196ad6e71dc64bb7ae6e934e4bb6cefa_P1.jpg)
SK텔레콤 서버 해킹 사태로 국가정보원이 정부 전 부처와 공공·산하기관에 SK텔레콤 유심 교체를 권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킹 사고 여파가 안보위기 우려로 번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정원은 19개 정부 부처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교육청에 SK텔레콤 망을 사용하는 업무용 단말기의 유심을 교체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고 29일 밝혔다. 국정원은 공문에서 △무선 통신망 기반 영상신호 전송과 교통신호 제어, 원격 계측·검침 등에 활용되는 LTE(4G)·5G 라우터(공유기)의 유심 교체 △업무용 휴대전화·태블릿, 4G·5G 에그 등 모바일 단말기기의 유심 교체를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정원은 “유심 교체 이전까지 업무용 단말기기를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부가 서비스에 가입하라”고 당부했다.
해킹과 관련된 고객 정보 유출 범위를 조사 중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날 출입기자단 정례 브리핑에서 SK텔레콤에 대한 중징계를 예고했다. 최장혁 개보위 부위원장은 “우리나라 1위 통신사의 메인 서버가 해킹당했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상징적”이라며 “(해킹된) 범위가 넓다는 점에서 중대한 사안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개보위에 따르면 2023년 9월부터 시행된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은 법을 위반한 사업자에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 상한선을 ‘전체 매출액의 3%’로 규정하고 있다. SK텔레콤의 2024년 연간 매출이 연결 기준 17조9406억원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최대 약 5400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
유심 교체 혼란이 지속되면서 SK텔레콤 고객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이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지난 28일 하루에만 이용자 약 3만4000명이 다른 통신사로 갈아탔다. 26일 1665명이 빠져나간 데 이어 그 규모가 급속히 커지고 있다.
SK텔레콤은 유심 재고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달 중순 유심 소프트웨어 초기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새 유심을 물리적으로 장착하는 대신 소프트웨어를 초기화해 새로운 정보를 덧씌움으로써 복제폰 악용 위험을 원천 차단하는 방식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30일 청문회를 열어 SK텔레콤을 상대로 해킹 사태의 전말을 조사하기로 하는 등 정치권의 압박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