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정말 홍콩 여행가서 맛집 100곳을 찍고 온 사람이 있다고? [여책저책]

  • 장주영
  • 기사입력:2025.04.19 20:11:34
  • 최종수정:2025.04.19 20:11:34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어떤 이는 여행하며 먹는 것은 살이 안찐다고 합니다. 특별한 곳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먹는 것에 칼로리가 ‘0’으로 수렴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 겁니다.

한국 여행자 사이에서도 맛집으로 이름난 다이파이동(홍콩식 포장마차) 애문생 / 사진 = 중앙북스
한국 여행자 사이에서도 맛집으로 이름난 다이파이동(홍콩식 포장마차) 애문생 / 사진 = 중앙북스

여책저책은 ‘미식의 천국’이라 불리는 홍콩에서 맛집만 무려 100곳을 엄선해 소개하는 책 ‘홍콩백끼’를 전합니다.

홍콩백끼
손민호‧백종현 | 중앙북스
사진 = 중앙북스
사진 = 중앙북스

중식계의 대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중식당 진진의 왕육성 셰프는 이 책을 옆구리에 끼고 다시 홍콩에 가보고 싶어졌다는 후한 평가를 내렸다. 이야기도 맛깔나고, 사진 역시 먹음직스럽다면서 말이다. 중앙일보 레저팀장을 맡고 있는 손민호와 같은 회사에서 역시 여행기자로 살아가고 있는 백종현, 두 사람이 홍콩 미식을 탐구한 결과물을 ‘홍콩백끼’라는 이름의 책으로 냈다.

​제목만 보고도 알 수 있듯 최소 100곳의 맛집을 책을 통해 만날 수 있다. 백 기자가 자신의 소개글에 언급한 내용만 봐도 취재에 들인 공이 느껴진다. 그는 매일 1만5000보를 걷고, 1600장 이상의 사진을 찍으며 한 달간 홍콩 전체를 누볐다고 했다. 하루 평균 예닐곱 끼를 맛보는 것도 부지기수였다.

미쉐린 1스타 만호의 춘권 / 사진 = 중앙북스
미쉐린 1스타 만호의 춘권 / 사진 = 중앙북스
중화요리를 다루는 식당으로 세계 최초 미쉐린 3스타에 오른 룽킹힌 / 사진 = 중앙북스
중화요리를 다루는 식당으로 세계 최초 미쉐린 3스타에 오른 룽킹힌 / 사진 = 중앙북스

실제로 ‘홍콩백끼’ 프로젝트에 들인 시간은 50여일. 방문한 식당 역시 130곳이 넘는다. 국내 중식 최초 미쉐린 스타 셰프 왕육성, 글 쓰는 요리사 박찬일, 펜화가 안충기, 사진기자 권혁재 등 각 분야 전문가들도 동참했다. 그들과 맛본 홍콩 음식만 500가지 이상이다.

​책에 담긴 모든 음식 사진과 거리 풍경은 현지에서 직접 촬영한 고퀄리티 화보로 구성했다. 책장을 넘기는 내내 홍콩의 생생한 감성을 전한다. 소개된 모든 맛집 정보에는 구글맵(Google Maps)과 연동되는 QR코드를 수록해 독자들은 식당 정보를 스마트폰에 손쉽게 저장하고 여행 중 바로 활용할 수 있다. 파트별 시작 페이지마다 삽입된 QR코드를 스캔하면, 100곳의 맛집이 정리된 구글맵 리스트로 연결된다.

홍콩 최고층 ICC빌딩 102층에 자리한 미쉐린 2스타 레스토랑 ‘틴룽힌’ / 사진 = 중앙북스
홍콩 최고층 ICC빌딩 102층에 자리한 미쉐린 2스타 레스토랑 ‘틴룽힌’ / 사진 = 중앙북스

때문에 ‘홍콩백끼’는 미식 가이드북인 동시에 홍콩의 삶과 문화를 들여다보는 책이다. 차찬텡(茶餐廳)에서는 외식 문화의 배경을, 길거리 음식에서는 도시의 생명력을, 미쉐린 파인다이닝에서는 홍콩 미식의 정점을 엿볼 수 있다.

​책은 총 3부로 나뉜다. 일상의 음식에서 파인다이닝까지, 먹거리에서 홍콩 영화 명소까지 넓게 아우른다. 딤섬 하나에도 200가지 종류가 있고, 하가우의 투명도를 보고 맛을 가늠하는 사람들이 있는 곳. 홍콩은 음식에 진심인 도시다.

타이항의 인기 노점 빙키 / 사진 = 중앙북스
타이항의 인기 노점 빙키 / 사진 = 중앙북스

저자들은 먹는 이야기 너머, 홍콩의 외식 문화, 도시 구조, 젊은 세대의 취향, 그리고 역사를 끌어안은 노포들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풀어냈다. 차찬텡을 통해 집밥이 사라진 사회 구조를 이해하고, 다이파이동에서 길거리 문화의 활기를 읽으며, 골목 미쉐린 식당에서 진짜 홍콩을 만난다.

※ ‘여책저책’은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세상의 모든 ‘여행 책’을 한데 모아 소개하자는 원대한 포부를 지니고 있습니다. 전문적인 출판사도 좋고, 개별 여행자의 책도 환영합니다. 여행 가이드북부터 여행 에세이나 포토북까지 어느 주제도 상관없습니다. 여행을 주제로 한 책을 알리고 싶다면 ‘여책저책’의 문을 두드려주세요.

​장주영 여행+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