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훈 한화오션 특수선 MRO TF팀 책임은 "30년 넘게 쓰던 배가 들어오고 나서 검사해봤는데 당초에 발주된 80여 건의 수리 항목 외에 200여 건이 추가로 확인됐다"면서 "5월 말에 미국 해군으로 넘겨줄 계획인데 항목이 계속 늘어나 350건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화오션이 미국 해군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에 참여해 두 번째로 수주한 유콘함은 1994년에 취역해 선령이 31년에 달한다.

미국 조선업계 경력이 짧지 않은 보로베츠 검사관의 평가대로 한국은 미국 조선업의 고질적인 문제에 대한 해답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 조선사들의 3대 문제점인 △노후화된 생산 인프라스트럭처 △인력 부족 △공급망 와해를 해결해줄 수 있는 세계 1위의 경쟁력을 한국이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경쟁력을 갖춘 데는 글로벌 수주 1위에 오르기까지 지속적인 기술인력 확보와 함께 협력업체들과의 공급망 완비라는 요인도 빼놓을 수 없다. 조선업체 임원은 "전형적인 생태계 산업이라는 점에서 조선소뿐만 아니라 주변에도 납기와 품질, 비용 경쟁력을 갖춘 협력업체들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선박이 다품종 소량생산이기 때문에 자동화보다는 숙련된 노동력으로 작업해야 하고 조선업 자체 규모가 지속돼온 덕분에 인력도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조선업 종사자 중에서 단순 기술직을 제외한 연구개발(R&D) 인력은 약 20%에 이르는데, 약 1만명으로 추산되는 이들은 대부분 설계를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조선소가 미국 해군 MRO 사업에 진출할 수 있던 배경도 이러한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다. 올해 초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가 있는 하와이에서 개최한 회의에 참석했던 우리 군 관계자는 "미국 해군 장성이 '서태평양에서 작전 중인 우리 군함을 기존 방식으로 수리하면 몇 개월 걸리는데 한국에서는 불과 3일 만에 끝났다'고 놀라워했다"면서 "한국 기술력과 빠른 업무를 인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조선 협력은 미국 해군 함정의 MRO와 더 나아가 신규 건조까지 이어질 수 있는 사업이다. 하지만 수주를 하려면 사업장(조선소)의 군사적 요건을 갖춰야 한다. 국내 사업장은 미국 정부와 군 규정에 부합하는 보안이나 방공망 체계가 아직 부족한 상태다.
[거제 안두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