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 회사 크래프톤이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3조원에 육박했고, 영업이익은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다. 크래프톤과 견줄 수 있는 실적을 거둔 회사는 넥슨 외엔 없다.
크래프톤이 질주를 이어가면서 회사를 이끄는 김창한 대표가 세간의 주목을 받는다. 2020년 최고경영자(CEO)로 취임한 김 대표는 4년 동안 크래프톤을 이끌어왔다. 그의 재임 기간 크래프톤 연평균 성장률은 20%에 달한다.
김 대표는 전형적인 ‘개발자’ 출신 경영자다. 2000년 카이스트 전산학과 박사 과정 중 게임 회사 ‘이매직’의 개발·기획·기술팀장으로 일을 시작했다. 이후 2003년 넥스트플레이 CTO로 자리를 옮겼고, 2009년 다시 지노게임즈로 이직했다. 2015년 지노게임즈가 크래프톤에 인수된 뒤 개발본부장직을 맡았다.
개발본부장에 오른 2015년, 그는 크래프톤 역사를 바꿀 결정적인 게임을 기획한다. 게임 이용자 다수가 접속해 한 명의 캐릭터만 살아남을 때까지 싸우는, 이른바 ‘배틀로열’ 장르 작품을 고안한 것. 새 게임 기획서를 작성한 뒤 경영진을 직접 설득해 개발 승인을 받아냈다. 이 게임이 바로 현재까지 크래프톤 핵심 수익원으로 자리 잡은 ‘배틀그라운드’다.

김 대표의 다음 목표는 ‘차세대 배틀그라운드’ 발굴이다. 크래프톤은 현재 ‘Big 프랜차이즈 IP 확보’란 전략 아래, 배틀그라운드 뒤를 이을 게임 개발에 회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성과가 조금씩 나타나는 중이다.
올해 게임 플랫폼 ‘스팀’을 통해 선보인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inZOI)’의 ‘얼리 액세스(정식 출시 전 미리 공개하는 게임)’ 버전이 공개 일주일 만에 누적 판매 100만장을 돌파했다. ‘인조이’가 자리 잡으면 김 대표와 크래프톤의 숙원이었던 ‘차세대 IP 확보’ 문제가 해결된다.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307호·별책부록 (2024.05.01~2024.05.07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