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놀이에서 상상력·혁신 충전한다 … 세계 첫 '로봇 올림픽' 열기 후끈

베이징서 열린 '휴머노이드 운동회 2025'
16개국서 최고 로봇기업 참가
스포츠 통해 경쟁사 기술력 경험
장단점 파악하고 HW·SW 개선
공학자 관심·이미지 증진 효과
학생들 이공계 도전 촉진 기대

  • 송광섭
  • 기사입력:2025.08.15 17:53:43
  • 최종수정:2025-08-15 18:54:52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링 위서 한판승부 15일 '2025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운동회' 격투기 종목에 출전한 로봇들이 글러브 등 안전장비를 장착하고 경기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링 위서 한판승부 15일 '2025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운동회' 격투기 종목에 출전한 로봇들이 글러브 등 안전장비를 장착하고 경기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15일 중국 베이징 국가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에 빙판 대신 깔린 육상 트랙에서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러닝화를 신은 두 발로 성큼성큼 달렸다.

1500m 달리기 종목에 참가한 로봇들이다. 곳곳에선 취재진과 관객들이 촬영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고, 마지막 한 바퀴를 알리는 종이 울리자 객석에서는 열띤 응원이 쏟아지기도 했다.

1500m 달리기 우승은 중국 로봇 기업인 베이징링이쿵젠커지가 차지했다. 기록은 6분34초. 베이징링이쿵젠커지는 중국 대표 로봇 기업인 '유니트리'의 자회사로 유니트리의 'H1'으로 참가했다. H1은 지난 2월 춘제(중국 설) 갈라쇼 때 인간 무용수와 함께 군무를 선보여 유명해진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우승 상금으로는 5만위안(약 960만원)을 받았다.

준우승은 6분55초를 기록한 베이징로봇혁신센터의 '톈궁'이 차지했다. 톈궁은 지난 4월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 첫 로봇 마라톤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당시에는 원격 제어를 했지만 이번에는 1500m 달리기에 참가한 로봇 중 유일하게 완전 자율 방식으로 뛰었다. 다른 한쪽에서 로봇들이 뛰다가 넘어지기도 했다. 한 로봇은 팔이 부러진 채로 완주했다.



선수처럼 전력 질주 15일 격투기 경기만큼 관심을 끈 육상에서 유니트리의 'G1'이 1500m 달리기 종목에 출전해 힘차게 트랙을 달리고 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선수처럼 전력 질주 15일 격투기 경기만큼 관심을 끈 육상에서 유니트리의 'G1'이 1500m 달리기 종목에 출전해 힘차게 트랙을 달리고 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경기장 중앙에 마련된 로봇 축구장에서는 또 다른 풍경이 펼쳐졌다. 약 1m20㎝ 크기의 로봇들은 축구공 하나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했다. 상대편 골대를 향해 패스하고 슛도 했다. 펜스에 부딪혀 쓰러진 로봇이 언제 그랬냐는 듯 곧바로 일어서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인간 축구 경기보다는 속도감이 덜하지만 공을 향한 집념은 사람과 차이가 없었다.

경기장 사이사이에서는 로봇들의 칼군무 능력을 보는 댄스 종목과 물건 옮기기·약재 분류 등 업무 능력을 평가하는 경기도 열렸다. 댄스 종목에서는 진시황의 병마용 분장을 한 채 군무를 선보인 베이징무도학원과 후베이광구둥즈체화지능기술유한회사 연합팀이 우승했다.

전날 밤 개막한 '2025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운동회'(일명 로봇 올림픽)는 이날부터 17일까지 본경기가 펼쳐진다. 경기 종목은 △100m 달리기 △1500m 달리기 △3대3 축구 △5대5 축구 △격투기 등 26개다. 중국·미국·독일 등 16개국에서 280개팀이 참가했으며 참가 로봇만 500여 대에 달한다. 대부분이 중국 팀이었다.



사진설명
특히 로봇 올림픽은 중국 로봇 기술 발전의 장이 됐다. 참가 기업·대학들은 이번 대회를 통해 수많은 혁신과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베이징링이쿵젠커지 관계자는 1500m 달리기 우승이 확정된 뒤 취재진과 만나 "끊임없는 제품 개발과 혁신이 이번 대회에 참가한 가장 큰 의미였다"며 "(참가 기업과 대학들에) 기술력을 향상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축구 경기에 참여한 중국농업대공학원의 양 모씨는 "오늘 경기에서 승리했지만 전략과 알고리즘에서의 취약점을 파악하게 됐다"며 "다음 경기 전에 개선 작업을 진행해 더 나은 성과를 내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운동회에 참가해 패배를 하더라도 이는 실패가 아니라 실험이라는 취지에서 한 말이다.

격투기 종목에 참가한 중국 로봇 스타트업 상하이가오커지의 루 모씨는 "향후 다양한 산업에 우리의 로봇 제품이 활용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로봇을 통해 인간 삶의 질이 높아지는 데 기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올해 들어 중국은 연일 '로봇 굴기'를 뽐내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중국에서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 대회, 5월에는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격투대회가 열렸다. 지난 8~12일에도 역대 최대 규모의 '2025 세계로봇콘퍼런스(WRC)'가 중국에서 개최됐다. 약 220개 기업이 참가해 1500여 종 제품을 전시했다.



팀플레이 축구도 척척 15일 로봇 올림픽회장 한쪽에 마련된 축구장에서 5대5 축구 종목에 참가한 로봇들이 열띤 시합을 벌였다. 득점에 성공할 때마다 객석에서 환호가 터져나왔다.  EPA연합뉴스
팀플레이 축구도 척척 15일 로봇 올림픽회장 한쪽에 마련된 축구장에서 5대5 축구 종목에 참가한 로봇들이 열띤 시합을 벌였다. 득점에 성공할 때마다 객석에서 환호가 터져나왔다. EPA연합뉴스
중국에서 연일 로봇 관련 이벤트들이 열리면서 그 배경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우선 대외적으로 중국이 로봇 기술을 선도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많다. 또 대내적으로 자긍심을 고취하고 로봇 산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끌어올려 인재 육성과 유치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실제 이날 경기장에는 평일인데도 자녀와 함께 가족 단위로 온 관람객이 많았다. 중고등학교에서 단체 관람을 오기도 했다. 11살 아들과 함께 경기장을 찾은 40대 여성 쉬 모씨는 이날 "세계 최초로 로봇 운동 경기가 열린다고 해서 오게 됐다"며 "무엇보다 자녀에게 유익한 체험을 하게 해주고 싶어 함께 왔다"고 설명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