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푸틴 자금줄 원천 봉쇄할 것" 바이든, 러 에너지기업 제재

석유업체·비밀 유조선 겨냥
개인·단체 200곳 규제 나서

  • 최승진
  • 기사입력:2025.01.12 17:29:51
  • 최종수정:2025-01-12 20:52:58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미국 정부가 러시아 주요 석유기업을 비롯해 개인·단체 200곳 이상과 러시아산 석유를 몰래 수송하는 유조선 180여 척 등에 대한 대규모 제재를 발표했다. 이 같은 조치에 국제 유가는 3.5% 이상 급등했다.

미국 재무부·국무부는 제재와 관련한 성명을 발표하면서 "이 같은 광범위하고 강력한 조치는 러시아가 에너지 자원으로 수입을 올리는 것을 제한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불법 전쟁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능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10일(현지시간) 밝혔다.

재무부는 러시아에 본사가 있는 가스프롬네프트, 수르구트네프테가스 2곳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들 2곳은 지난해 1~10월 유조선을 통한 수출의 30%가량을 차지한다.

재무부는 이들 기업의 자회사 20여 곳도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 또 이들 기업의 자회사 20여 곳이 50% 이상 지분을 가진 법인도 제재 대상에 포함했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가스프롬네프트, 수르구트네프테가스에 대한 제재에는 영국 정부도 동참했다고 발표했다.

재무부는 러시아산 원유를 몰래 수출하는 이른바 '그림자 함대' 선박 183척 등도 제재했다. 러시아는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의 경제 제재로 수출길이 막히자 다른 나라 선적으로 위장한 '그림자 선박'으로 원유를 수송하고 있다. 재무부는 이들 선박 가운데 일부는 이란산 원유도 수송했다고 전했다.

재무부는 러시아의 해상 선박 보험사인 인고스트라, 알파스트라코바니 등과 함께 석유 트레이더, 유전 서비스 제공 업체, 에너지 관련 관료 등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이와 별개로 액화천연가스(LNG) 생산 및 수출 관련 기업을 비롯한 단체·개인 80여 명도 제재 대상에 올렸다.

조 바이든 정부의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이뤄졌다. 바이든 정부가 제재 조치 발표 전에 트럼프 인수위팀에 관련 내용을 통보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이번 제재 조치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에도 유지될지를 묻는 질문에 "우리가 취한 제재를 언제 어떤 조건으로 해제할지 결정하는 것은 순전히 그들에게 달렸다"고 말했다.

이 같은 제재 소식이 전해진 이후 국제 유가는 급등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2.61달러(3.59%) 오른 배럴당 76.5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로써 WTI는 3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게 됐다. 최근 3주 동안 WTI는 7.11달러(10.24%) 올랐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