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연세대 주최 ‘AI 전환기 재교육 정책 세미나’ 국회서 열려

“한국, 중장년층 겨냥 AI 대책 부족…정년 연장 연계 통합 접근 필요”

  • 지혜진
  • 기사입력:2025.08.22 16:58:24
  • 최종수정:2025-08-22 18:35:15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한국, 중장년층 겨냥 AI 대책 부족…정년 연장 연계 통합 접근 필요”
연세대가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AI 전환기 재교육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연세대학교]
연세대가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AI 전환기 재교육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연세대학교]

연세대 미래정부연구센터와 행정학과 BK 교육연구단이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AI 전환기 재교육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연세대와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 김우영·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 최수진·최형두 국민의힘 의원, AVPN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구글의 사회공헌조직 ‘구글닷오알지(Google.org)’가 후원했다.

연세대는 지난 5월부터 일본 도쿄대, 홍콩 중문대 연구진과 협력해 한국·일본·홍콩의 AI 전환기 재교육 정책 현황을 비교 조사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구글닷오알지와 아시아개발은행(ADB)이 후원하고 AVPN이 운영하는 ‘AI 오퍼튜니티 펀드: 아시아태평양’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홍순만 연세대 국가관리연구원장 겸 행정학과 BK21 교육연구단장이 글로벌 공동연구의 취지와 아시아 3개국 연구 성과를 소개했고, 문병걸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가 한국 사례를 발표했다.

연세대, 도쿄대, 홍콩중문대 공동연구진은 “한국은 정부 차원의 AI 종합 전략을 수립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지만, 중장년층을 별도로 겨냥한 구체적 대책은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부처 간 연계 미흡으로 고령자 고용프로그램과 AI 인재 양성 정책이 분리되어 추진되면서 중장년층이 정책 사각지대에 놓일 위험이 있다”며 “일본처럼 고용 연령 연장 정책과 연계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장년층 맞춤형 전략 필요성 증대, 부처 간 협력 및 거버넌스 개선, 기업의 적극적 참여와 인센티브 제공, 학습 방법과 콘텐츠 혁신, 대규모 확산과 재원 확보” 등 5가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문명재 연세대 미래정부연구센터장이 좌장을 맡고, 박영은 AVPN 디렉터, 신철호 상상우리 대표, 최문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포용본부장, 최어지니 고용노동부 직업능력정책과 행정사무관, 이덕난 국회입법조사처 교육문화팀장(전 대한교육법학회 회장)이 참여해 발언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이번 정책 세미나는 AI 전환기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고민하는 자리였다”며 “향후 국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적 디지털 전환을 실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문명재 연세대 미래정부연구센터장은 “이번 세미나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국들의 AI 전환기 재교육 정책을 비교·분석하고,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한 대학·정부·민간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였다”며 “특히 AI 시대에 요구되는 중장년층 재교육 및 디지털 포용 전략에 대한 한국형 모델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