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연휴가 끝난 7일부터 준법투쟁을 예고하면서 시민들이 출퇴근길에 불편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6일 서울시는 시내버스 노조에서 7일부터 준법투쟁을 예고함에 따라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특별 교통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지난달 30일부터 파업 대신 법규를 철저히 지켜 운행 지연을 초래하는 준법운행으로 쟁의행위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통상임금과 임금 인상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8일 열리는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파업 시기와 방법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노조 관계자는 "서울시의 회사평가매뉴얼 운행실태 점검대로 하는 안전운행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혼잡을 완화하고 대중교통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철의 출근 주요 혼잡시간을 오전 7~10시로 1시간 확대 운영하고, 1~8호선과 우이신설선의 열차 투입을 47회 늘릴 예정이다. 다만 지난 준법투쟁 당시 시내버스 이용에 큰 불편이 발생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해 자치구 무료 셔틀버스는 별도로 운영하지 않는다.
또한 지난 준법투쟁 당시 선행 차량의 장시간 정류소 정차, 의도적 지연 운행 등으로 인해 소위 '버스열차'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서울시는 공무원을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배치한다. 그리고 불필요한 장시간 정차 행위 등을 확인하는 즉시 현장에서 조치할 계획이다.
이외에 시내버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교통 흐름을 저해하는 고의적 감속 운행, 출차·배차 지연 행위에 대한 모니터링도 지속한다.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앞서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지난달 30일부터 파업 대신 법규를 철저히 지켜 운행 지연을 초래하는 준법운행으로 쟁의행위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통상임금과 임금 인상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8일 열리는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파업 시기와 방법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노조 관계자는 "서울시의 회사평가매뉴얼 운행실태 점검대로 하는 안전운행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혼잡을 완화하고 대중교통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철의 출근 주요 혼잡시간을 오전 7~10시로 1시간 확대 운영하고, 1~8호선과 우이신설선의 열차 투입을 47회 늘릴 예정이다. 다만 지난 준법투쟁 당시 시내버스 이용에 큰 불편이 발생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해 자치구 무료 셔틀버스는 별도로 운영하지 않는다.
또한 지난 준법투쟁 당시 선행 차량의 장시간 정류소 정차, 의도적 지연 운행 등으로 인해 소위 '버스열차'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서울시는 공무원을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배치한다. 그리고 불필요한 장시간 정차 행위 등을 확인하는 즉시 현장에서 조치할 계획이다.
이외에 시내버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교통 흐름을 저해하는 고의적 감속 운행, 출차·배차 지연 행위에 대한 모니터링도 지속한다.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