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4종류서 3종류로
제약사들, 벌써 치열한 경쟁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9/02/news-p.v1.20250901.c0d67558bb6a4892bd9a38b1a0054de8_P1.jpg)
올겨울 인플루엔자 유행에 대비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이 이달 말 시작된다. 특히 이번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은 기존 4가 백신에서 3가 백신으로 전환해 시행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국내외 제약사들은 고함량 등으로 차별화한 백신을 연이어 내놓으며 백신의 계절을 준비하고 있다.
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달 22일부터 내년 4월까지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이 시작된다. 감염 시 중증화 위험이 큰 6개월~13세 어린이를 시작으로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 등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접종이 이어진다.
이번 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은 3가 백신으로 진행된다. 기존에는 A형 바이러스(H1N1, H3N2)와 B형 바이러스(빅토리아, 야마가타) 등 총 4종의 바이러스에 대한 항원을 담은 4가 백신이 국가예방접종에 활용됐다. 하지만 올해 초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에 따라 이번 절기에는 기존 백신에서 B형 야마가타 바이러스 항원이 빠진 3가 백신 접종이 결정됐다.
![GC녹십자 인플루엔자 백신 ‘지씨플루’. [사진 = GC녹십자]](https://wimg.mk.co.kr/news/cms/202509/02/news-p.v1.20250901.9147673f05e14b27a2adfebf5465285f_P1.jpg)
제약 업계도 서둘러 대응에 나섰다. 올해 국내에 유통될 예정인 국산 독감 백신은 GC녹십자의 ‘지씨플루’, 보령바이오파마 ‘보령플루 백신’, SK바이오사이언스 ‘스카이셀플루’, 일양약품 ‘일양플루백신’, 한국백신 ‘코박스플루PF’ 등 총 7개 품목이다. 수입 백신으로는 CSL시퀴러스,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사노피, 아스트라제네카 등 4개사의 제품이 유통된다.
이 가운데 국가에서 지원하는 국가예방접종에 공급되는 백신은 국산 독감 백신과 사노피의 박씨그리프테트라 등 6종이다.
문제는 기존 시장을 주도해온 4가 백신이 3가 백신으로 전환되면서 이들 백신의 공급 가격이 1만원대 아래로 떨어졌다는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3가 백신 전환으로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참여하더라도 매출 방어가 쉽지 않아졌다”며 “그만큼 비급여로 이뤄지는 민간 백신 시장 주목도가 높아진 분위기”라고 말했다.
![사노피 인플루엔자 백신 ‘에플루엘다’. [사진 = 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https://wimg.mk.co.kr/news/cms/202509/02/news-p.v1.20250901.3208f8579c524d7b8dc0296e0f941509_P2.jpg)
비급여 독감 백신 시장에서는 먼저 65세 고령층을 겨냥한 고용량 백신인 사노피 ‘에플루엘다’와 CSL시퀴러스의 ‘플루아드쿼드’의 경쟁이 주목된다.
사노피는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공급하는 박씨그리프테트라와 함께 에플루엘다를 선보이며 기존에 플루아드쿼드가 주도하던 고령층 백신 시장에 뛰어들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젊은 성인 대비 백신 효능 등이 빠르게 감소해 표준 용량 백신 대비 4배가량 많은 항원을 포함한 고용량 독감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10년 만에 국내에 다시 등장한 아스트라제네카의 비강 스프레이형 백신 ‘플루미스트’의 존재감도 변수다.
플루미스트는 2009년 국내에 수입됐으나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철수한 바 있다. 지난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으며 10년 만에 국내 시장에 다시 발을 내디딘 플루미스트는 코에 뿌리는 방식의 접종 편의성을 앞세워 소아·청소년 환자들을 중심으로 수요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