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도약하려면 바이오 필수”
CDMO 세계 1위 되도록 기업 지원
신약 개발에 AI기술도 적극 접목
전국 20여 개 바이오클러스터
하나로 묶는 가상플랫폼 구축
K바이오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는 국가 전략을 총괄하는 국가바이오위원회가 23일 출범했다. 위원회의 비전은 ‘한국형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해 연구개발(R&D)부터 사업화까지 이어지는 전주기적 바이오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
최근 제약바이오 산업에서 역할이 커지고 있는 인공지능(AI) 등 다른 분야 기술과 융합을 가속화해 신약 개발 기간도 기존의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는 목표도 내놨다.
정부는 이날 서울바이오허브에서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대통령 직속위원회인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대한민국 바이오 정책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범부처 최고위 기구다. 바이오소재 분야 석학인 이상엽 카이스트 교수가 부위원장으로 위촉됐고, 총 24명의 민간위원 전문가와 12명의 정부위원으로 구성됐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출범식 모두발언에서 “우리나라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제 동력원으로서 바이오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며 “위원회를 통해 관계기관에서 개별 추진 중인 정책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보건·의료, 식량,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바이오 전 분야에 대한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1차 회의에서는 범부처 합동으로 마련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발표했다. 인프라, 연구개발, 산업 측면에서 혁신을 이루기 위한 세부 계획들이 담겼다.
먼저 바이오 분야 전주기 혁신을 위해 2030년까지 ‘한국형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해 인프라스트럭처 대전환을 추진한다. 국가바이오위원회 산하에 ‘바이오 클러스터 협의체’도 둔다. 바이오 클러스터의 개념은 확 바꾼다. 그간 정부는 바이오 산업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관련 기업, 서비스업체, 산업기관들이 모인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해왔다. 이미 전국의 바이오 클러스터는 20여 곳에 달한다.
정부는 기존 클러스터를 하나로 연결하고 인프라를 공유하는 ‘버츄얼 플랫폼’을 만들기로 했다. 정은영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모든 기관을 다 모을 수는 없는 만큼 버츄얼 기반으로 상호간에 자원을 공유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양질의 데이터 개방해 AI 적극 접목
그간 바이오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주범의 하나로 꼽혀온 인력난 해소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2027년까지 바이오헬스 분야 인재 11만 명 양성을 목표로 다학제적·실무형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AI 신약개발 등 분야별 전문 교육도 활성화한다.
AI 기술을 접목해 바이오 연구개발의 패러다임 전환을 꾀한다. 특히 AI를 활용한 바이오 기초모델 개발로 신약 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반 가량 단축하는 게 목표다. 또한 AI 기반의 공공 바이오파운드리를 구축해 바이오 실험 속도를 20배 이상 높인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바이오 데이터의 활용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데이터플랫폼에 여러 데이터를 연계해 2035년까지 데이터 1000만 건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그간 개인정보 규제가 데이터 활용을 막아 AI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이를 손보겠다는 의지다. 우선 시범적으로 15개 바이오 분야 공공연구기관의 데이터를 전면 개방하고, 향후 확대 범위를 점차 늘려나갈 계획이다.
산업 면에서는 K-바이오·백신 펀드 등 1조원 규모 이상의 메가펀드를 조속히 조성하고, 바이오 관련 기술을 국가전략기술에 추가해 세액공제 혜택을 확대하기로 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 위탁개발생산(CDMO) 분야도 과감하게 지원한다. 이를 통해 2032년까지 국내 CDMO 생산능력을 현재의 2.5배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다. 이 차관은 “국내 CDMO 산업을 생산과 매출 모두 세계 1위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업의 애로사항을 총력을 다해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아직 국가바이오위원회의 법적 근거는 시행령 밖에 없다. 지난해 11월 관련 시행령이 만들어졌는데, 이대로라면 대통령 임기가 끝나면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법적 근거를 잃는다. 이 차관은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지속하기 위해서는 법적 근거가 필요한 만큼 조속하게 법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바이오 산업 관련 정책이 백화점식으로 나열돼 아쉽다는 평가도 나온다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국가바이오위원회의 이번 발표에는 바이오 산업의 전체를 커버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정부가 향후 국내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해 산업계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과도하게 많은 아젠다가 포함됐다. 운영 과정에 선택과 집중을 잘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