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日 이어 EU도 車 15% 관세 합의 … 벼랑 끝에 선 韓 자동차 [사설]

  • 기사입력:2025.07.28 17:47:07
  • 최종수정:2025.07.28 17:47:07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도 미국과 15% 관세에 합의를 봄에 따라 아직 타결에 이르지 못한 한국이 느끼는 압박감이 커졌다. 이달 중 협상을 끝내지 못하면 당장 다음달 1일부터 일본, 독일보다 10%포인트 높은 관세 부담을 안고 미국 시장에서 경쟁해야 한다.

자동차 산업이 느끼는 위기감이 특히 크다. 현대차는 지난 2분기에 매출이 7.3% 상승했고 미국 판매량은 10.3%나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5.8% 감소했다. 미국 관세 여파다. 관세 부담을 가격에 반영하지 않은 결과 판매를 늘리고도 이익이 크게 준 것이다. 그나마 지금까지는 일본 등 경쟁국과 같은 조건이었다면 관세 협상에 실패할 경우 마이너스 가격경쟁력이 불가피해진다. 그동안 미국 시장에서 한국 차는 동급의 일본, 유럽 차에 비해 5%가량 저렴하게 팔렸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덕분에 2.5%의 관세가 면제된 것이 가격경쟁력 원천이었다. 반대로 도요타·폭스바겐이 15%, 현대차가 25% 관세를 무는 환경이 되면 가격을 올려 시장점유율을 잃거나, 무한 출혈경쟁을 하는 수밖에 없다.

심지어 한국은 현지 생산 비중마저 낮다. 현대·기아차가 미국에 파는 자동차 중 현지에서 생산하는 물량이 42%인 데 비해 도요타는 55%, 혼다는 72%다. 한국공장 생산 물량의 85%를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GM은 상황이 심각하다.

앞으로 일본 차는 품목관세 12.5%와 수입관세 2.5%를 합쳐 15% 관세를 물게 된다. 한국 자동차가 기존 가격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일본보다 관세율이 최소 2.5%는 낮아야 한다. 한미 간에는 수입관세가 없으므로 자동차 품목관세 12.5%가 마지노선이 돼야 할 것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대미 무역흑자 660억달러 중 60%를 자동차가 차지했다. 미국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가 두 자릿수 점유율을 기록한 것은 최근 몇 년 사이 일이다. 관세 폭탄은 수십 년 걸려 쌓은 탑을 하루아침에 무너뜨릴 수 있다. 비단 자동차뿐만이 아니라 중추 산업을 지키는 것이 협상 제1 목표가 돼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