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단독] “비싸서 한전 계약은 해지합니다”…산업용 전기료 급등에 ‘전력직구’ 나선 기업들

산업용전기료 70% 급등에 발전사 직접 구매 선호 늘어 11개 대기업 사업장 신청

  • 신유경
  • 기사입력:2025.08.15 18:26:50
  • 최종수정:2025-08-15 20:51:40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산업용전기료 70% 급등에
발전사 직접 구매 선호 늘어
11개 대기업 사업장 신청
송전탑. 연합뉴스
송전탑. 연합뉴스

한국전력공사의 대기업 고객사인 삼성전기 등이 잇달아 ‘전력직접구매제도’를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LG화학이 전력을 직접 구매하고 있는 가운데, 이달에만 벌써 6개 사업장이 정부에 전력직구제도를 신청한 것이다. ‘전력 직구’란 판매사업자인 한전을 거치지 않고 발전사업자로부터 전력을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15일 이종배 국민의힘 의원실이 전력거래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10월부터 지금껏 전력직구제도를 신청한 대기업 사업장은 11곳에 달했다. 전력직구제도는 한 번에 감당할 수 있는 전기의 최대치를 가리키는 수전설비 용량이 3만킬로볼트암페어(㎸A) 이상인 전기 사용자에 대해 허용돼 있다.

특히 SK어드밴스드, 한국철도공사에 이어 삼성전기도 지난달 전력직구제도를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에는 SK인천석유화학, 한화솔루션 여수·여수2·울산2 사업장, KCC글라스, LG화학 적량 사업장이 전력직구 제도를 희망했다.

산업용 전기료가 급등하면서 대기업 고객사들의 ‘탈한전’ 러시가 현실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LG화학이 지난 6월 말부터 전력직구 시작을 끊은 데 이어 대기업들의 제도 신청이 급증했다.

사진설명

정부가 산업용 전기료만 잇달아 올리며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산업용 전기료는 70% 급등했다. 같은 기간 가정용 전기료가 37%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2배 수준의 상승폭이다.

전력직구제도에 관심이 있는 대기업이 많은 만큼 향후 제도 신청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추가적인 재무 건전성 개선이 필요한 한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한전의 전력 판매 수입에서 산업용 전기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최근 한전의 실적 개선세 역시 산업용 전기료 인상 효과에 기댄 부분이 컸다.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전의 전력 판매 수입에서 산업용 전기료는 55%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종배 의원은 “전력 판매 수입의 50%가량이 산업용인 만큼 기업들의 ‘한전 이탈 러시’가 가속화되면 한전의 재무 상황은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한전과 산업계 모두 부담을 덜 수 있는 방안을 담은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