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일장기는 우리 국기로 바꾸기 쉽죠”…덧칠한 태극기에 담긴 그날의 감격 [Book]

1945년 만세 외치던 시민들 일장기에 덧칠한 태극기 만들어

  • 김지한
  • 기사입력:2025.08.15 20:13:10
  • 최종수정:2025.08.15 20:13:10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1945년 만세 외치던 시민들
일장기에 덧칠한 태극기 만들어
일장기를 개조해 만든 것으로 알려진 태극기. 이 태극기는 붉은색 일장기에 청색의 태극을 덧칠하고 4괘를 그려 넣었다. 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한 미군 병사가 습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일장기를 개조해 만든 것으로 알려진 태극기. 이 태극기는 붉은색 일장기에 청색의 태극을 덧칠하고 4괘를 그려 넣었다. 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한 미군 병사가 습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1945년 8월 15일, 갑자기 찾아온 광복에 서울 거리의 시민들은 만세를 외치고 기쁨을 만끽했다. 그러나 태극기를 마음껏 흔들고 싶어도 그럴 수 없었다. 광복 직전까지 태극기는 일제 눈에 띄어서는 안 될 상징물이었기 때문이다.

이때 기발한 발상 하나가 사람들 머릿속에 떠올랐다. 일장기 위에 태극 문양을 덧칠하고 건곤감리 4괘를 그렸다. 일장기를 재활용한 태극기는 그렇게 제작돼 사람들 손에 들렸다. 일제의 폭압을 이겨내고 어떤 방식으로든 그 기쁨을 표출해내려는 마음이 담긴 이 태극기는 8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광복 당시의 감격을 느끼게 한다.

색 바랜 태극기 한 장을 비롯해 사진과 편지, 우표, 엽서, 증명서 등에는 그 시대의 상황과 이야기가 담겼다. ‘역사 컬렉터’를 자처하면서 30여 년간 수집품 1만여 점을 모은 저자는 책을 통해 개항부터 일제 강점, 광복 직후까지 평범한 사람들이 남긴 의미 있는 물품들을 이야기와 함께 전한다.

사진설명

내 방안의 역사 컬렉션, 박건호 지음, 휴머니스트, 2만5000원

저자가 소개한 수집품은 화려하거나 거창하지 않다. 모두 옛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했던 물품이다. 사람들 손때가 묻고 오랜 세월이 지나 이제는 빛도 바랜 평범한 물건이지만 여기에 역사적 맥락과 배경이 곁들여지면 수집품을 대하는 마음가짐이 달라진다.

지원병으로 전선에 나가기 전 경성역 군인대합실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십 년 후 다시 만날 동무’라는 문구가 적힌 사진, ‘대일본제국 만만세’로 끝맺은 조선인 청년의 유언장에서는 식민지 조선인들의 복잡한 생각과 마음이 느껴진다. 황국신민 서사 전단지, 조선 한우 수탈을 보여주는 축우 경기대회 상장, 일제의 보통학교 교과서를 접하면서는 일제의 수탈 만행에 눈살이 저절로 찌푸려진다.

반면 일본식 이름을 새겼다 광복 후 숨겼던 원래 이름을 뒷면에 다시 새긴 문패, 비문을 지운 황국신민서사비 앞에서 촬영한 중학생들의 단체사진, 우리말로 쓴 ‘상짱(상장)’을 통해 일제의 잔재를 벗고 새로운 세상을 건설하려는 당시 사람들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저자는 “사소해 보이는 역사 자료들을 수집하고 그것에 담긴 이야기를 찾아내어 물건들에 담긴 옛사람들의 삶을 오롯이 전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