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은 구독 멤버십의 롤모델인 아마존 프라임으로 유통업계의 정상이 됐다. 국내 네이버와 쿠팡 또한 이를 벤치마킹했다.
JP모건에 따르면 아마존 프라임의 연간 구독료가 119달러일 때 구독자는 약 784달러의 가치를 얻는다. 구독료의 6배가 넘는 혜택이다. 아마존은 소비자에게 큰 혜택을 주는 대신 구독자가 비구독자보다 평균 4.6배 많은 금액을 지출해 매출 증가 효과를 누린다. 반면 구독자의 40%는 연간 1000달러 이상을 소비하지만, 비구독자는 8%만 이 정도의 금액을 지출한다. 결국 구독자가 비구독자보다 약 5배 정도 더 많은 돈을 쓰는 셈이다.
신임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네이버 최고경영자(CEO) 시절 국내 구독 멤버십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경험이 있다. 이제 그 경험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구독 서비스 정책과 멤버십 모델로 확장되길 기대한다. 그래야 강제 구독의 시대에 구독경제가 대기업을 넘어 중소상공인의 새로운 생존 전략이자 희망이 될 수 있다.
사랑도 구독과 비슷하다. 상대방에게 베풀고 사랑을 표현할수록 더 큰 행복과 기쁨이 돌아온다. 베풂과 사랑은 결국 자신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구독 서비스의 무료 체험 후 유료 전환율은 약 33~46%다. 마음을 열고 베풀면 10명 중 3~5명은 나에게 좋은 모습으로 돌아올 것이다.
하지만 사랑이 오래 지속되기는 쉽지 않다. 맥킨지에 따르면 구독자의 55%만 장기 약정을 고려하며 나머지 45%는 6개월 이내에 해지한다. 우리의 연애 기간과도 절묘하게 겹친다. 그러나 이별이 영원한 헤어짐은 아니다. 미국 구독 관리 기업인 리컬리에 따르면 실제 구독자의 20%는 해지 후 다시 가입한다. 그래서 기업이나 개인 모두 만남보다 잘 헤어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
연인이나 친구 관계에서도 이별의 전조처럼 잠시 거리를 두는 시간이 찾아오곤 한다. 구독경제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난다. '일시 정지' 옵션이 있으면 가입자의 25%는 해지 대신 일시 정지를 선택한다. 해지 대신 잠시 멈춘다는 건 언젠가 다시 돌아올 마음이 남아 있다는 뜻이다.
인간관계 역시 마찬가지다. 상대를 이해하려는 여유와 잠시 멀어질 수 있는 여백이 있어야 관계가 오래 지속된다. 설령 헤어진다 해도, 기업도 사람도 관계가 끝날 때는 서운함보다 진심 어린 감사가 먼저다. 영원히 만나지 않을 것 같아도, 결국 다시 만나게 되는 법이다.
소비자의 20%는 구독을 해지한 뒤 다시 돌아온다. 헤어짐이나 해지는 반드시 영원한 작별은 아니다. 구독경제와 인간관계의 진짜 경쟁력은 떠난 사람을 다시 돌아오게 만드는 '진심'에 있다.
사람은 떠날 수 있어도, 진심은 언제든 되돌아올 수 있다.
그래서 좋은 이별은 'Goodbye'가 아니라, 'See you again'이다.
[전호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구독경제전략연구센터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