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MZ 진출’에 기업 선호 인재상도 달라졌다...1위는 ‘책임감’

사람인 조사...‘소통’, ‘긍정적 태도’ 중요 “젊은 세대 특징 과거와 달라”

  • 김연수
  • 기사입력:2025.02.20 18:26:59
  • 최종수정:2025.02.20 18:26:59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사람인 조사...‘소통’, ‘긍정적 태도’ 중요
“젊은 세대 특징 과거와 달라”
채용정보 살펴보는 구직자들. (사진=연합뉴스)
채용정보 살펴보는 구직자들. (사진=연합뉴스)

경영 환경이 급변하고 MZ세대가 현업에 진출하면서 기업이 선호하는 인재상도 달라졌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231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재상 평가 현황’ 조사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그 결과 10곳 중 6곳(58.0%)이 2020년대 이전과 비교해 인재상이 변했다고 답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300인 이상(70.6%), 100인∼300인 미만(57.6%), 100인 미만(56.9%) 순이었다. 300인 이상 기업이 인재상이 변화했다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응답 기업들은 인재상이 변화한 이유로 ‘새로 들어오는 젊은 세대 인재의 특징이 과거와 달라서’(50.0%, 복수 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급변하는 경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26.9%), ‘일하는 방식이 크게 바뀌어서’(20.1%), ‘사회·문화적 인식이 변해서’(18.7%), ‘인재 운영 전략이 바뀌어서’(12.7%) 등이 뒤를 이었다.

과거에 비해 중요해진 인재상으로는 ‘책임감’(31.3%, 복수 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근소한 차이로 ‘소통’(30.6%)이 2위를 차지했다. ‘긍정적인 태도’(26.1%), ‘조직 적응력’(23.1%), ‘전문성’(23.1%), ‘성실’(20.1%), ‘도전’(14.9%), ‘배려’(14.2%), ‘창의’(11.9%), ‘열정’(11.2%) 등도 언급됐다.

채용 시 인재상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실무면접 진행’(70.1%, 복수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기업의 인재상을 파악할 수 있는 창구로는 ‘채용 공고’(64.5%, 복수 응답), ‘기업 공식 홈페이지’(35.5%), ‘인사 담당자 커피챗’(13.4%), ‘공식 SNS’(8.2%), ‘채용 설명회’(4.8%) 등이 있었다.

사람인은 “2020년대부터 팬데믹과 디지털 전환으로 일하는 방식이 바뀌고 MZ라고 불리는 새로운 세대가 현업에 진출하며 이전과 다른 기업 문화가 확산했다”며 “즉시 전력에 투입돼 한 사람의 몫을 해내는 인재가 중요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