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金 "한반도 문제, 유엔서 조정해야"… 中업고 대북제재 완화 노려

6년만에 북중 정상회담
習, 북핵문제 등서 영향력 확대
북한 지렛대 삼아 美견제 구상
金, 국빈방문급 특급의전 받아
회담 이후 열차로 평양길 올라
북·중·러 회담은 끝내 불발

  • 김성훈/김상준/송광섭
  • 기사입력:2025.09.05 00:10:36
  • 최종수정:2025.09.05 00:10:36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담 장소인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담 장소인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북한과 중국 정상이 4일 중국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오랜 기간 냉랭했던 북·중 관계 복원을 공식화했다. 이날 양 정상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이후 6년2개월 만에 한자리에 마주 앉았다. 시 주석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 참석차 6년8개월 만에 중국을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제공했던 파격 의전을 고려하면, 이번 정상회담은 양국 관계의 '톱다운' 방식 정상화 선언으로 해석된다. 시 주석은 김 위원장과의 회담을 통해 북핵 문제 등 한반도 핵심 현안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해 '북한을 지렛대 삼아 미국을 견제하겠다'는 구상을 드러냈다.

앞서 북·중 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북한의 대(對)러시아 무기 지원과 대규모 파병을 비롯한 여러 현안을 두고 물밑에서 갈등을 빚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거센 압박에 직면하자 관계를 개선하며 반미(反美) 연대를 강화하기로 방향을 틀었다. 김 위원장은 반미 진영을 주도하는 중국의 군사력를 과시하는 전승절 행사를 자신의 다자외교 데뷔 무대로 잡고, 딸 김주애까지 대동하며 중국은 물론 국제사회에 '매력 공세(charm offensive)'를 펼치기도 했다.

시 주석은 회담을 통해 중국과 북한이 국제·지역 문제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공동 이익을 수호해야 한다고도 했다. 또 한반도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은 항상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견지하며, 북측과의 조율을 계속 강화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최대한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이 중국 견제를 강화하는 동시에 북한에는 대화 재개 메시지를 보내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북·중 간 대외 정책 공조를 강화하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이에 김 위원장도 "중국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심화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북한의) 확고한 의지"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대만 △티베트 △신장 등 중국의 핵심 이익과 관련된 문제에서 중국과 입장을 같이하며 "중국이 국가 주권과 영토 완정을 수호하는 것을 지지한다"고도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유엔 등 다자 플랫폼에서 계속 조정을 강화해 양측의 공동 이익과 근본 이익을 수호하기를 바란다"면서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의 공정한 입장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에 시 주석도 "북한 측과 고위급 교류와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북·중은 국제 및 지역 사안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공동 이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 사안은 물론 중국이 국제사회와 갈등을 빚고 있는 사안에 대해 전적으로 중국 편에 서겠다는 발언인 셈이다.

김 위원장은 이번 방중과 북·중정상회담에서 북·중 관계 개선을 통한 경제적 활로 모색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이번 방중에 김덕훈 노동당 경제부장과 김용수 당 재정경리부장 등 경제관료를 대거 투입했고, 2023년 북·러정상회담 때 대거 동행했던 군 핵심 인사들은 평양에 남겼다. 김 위원장으로서는 북한 경제의 '바로미터' 격인 환율과 쌀값이 급등세를 이어가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대체 불가한 교역 파트너인 시 주석의 협조가 절실할 수밖에 없다.

중국 전승절을 계기로 한 북·중·러 정상회의는 결국 성사되지 않았다. 이날 러시아 크렘린궁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중국 공식 방문 일정을 마치고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갔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은 이날 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참석 소식을 홍보하고 나섰다. 중국·러시아 정상과 어깨를 나란히 한 김 위원장을 '강대국이 존중하는 지도자'로 부각해 북한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이날 회담을 마친 뒤 전용열차를 타고 귀국길에 올랐다.

[김성훈 기자 / 김상준 기자 /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