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4일 중국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두 정상은 양국이 운명을 함께한 좋은 동지라는 점에 공감하며 양국 관계 복원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4일 오후 시 주석과 김 위원장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했다고 보도했다. 두 정상 간 회담은 2019년 6월 시 주석 방북 이후 6년2개월여 만이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회담에서 "중·조(중·북)는 운명을 함께하는, 서로를 돕는 좋은 이웃 겸 친구이자 동지"라며 "두 나라 모두 공산당이 이끄는 사회주의 국가로 공동의 이상과 신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 북한은 국제 및 지역 문제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공동 이익을 수호해야 한다"면서 "한반도 문제에 대해 중국은 항상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견지하며, 북한과의 조율을 계속 강화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최대한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국제 정세가 어떻게 변하든 양국의 우호적 감정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양국 관계를 끊임없이 심화·발전시키는 일은 우리의 확고한 의지"라고 화답했다. 또 "양국 간 호혜적인 경제·무역 협력을 강화해 더 많은 성과를 이루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경제 분야부터 양국 관계를 복원하겠다는 의도로 읽히는 대목이다.
김 위원장이 다음달 북한에서 열리는 열병식에 시 주석을 국빈으로 초대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회담에는 최선희 외무상과 김덕훈 노동당 경제부장 등이 배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는 회담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두 정상은 회담 이후 만찬도 함께했다. 의전 관례상 단독 만찬은 국빈방문에 해당한다. 반면 북한·중국·러시아 정상 간 3자 회의는 끝내 불발됐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서울 김성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4일 오후 시 주석과 김 위원장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했다고 보도했다. 두 정상 간 회담은 2019년 6월 시 주석 방북 이후 6년2개월여 만이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회담에서 "중·조(중·북)는 운명을 함께하는, 서로를 돕는 좋은 이웃 겸 친구이자 동지"라며 "두 나라 모두 공산당이 이끄는 사회주의 국가로 공동의 이상과 신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 북한은 국제 및 지역 문제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해 공동 이익을 수호해야 한다"면서 "한반도 문제에 대해 중국은 항상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견지하며, 북한과의 조율을 계속 강화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최대한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국제 정세가 어떻게 변하든 양국의 우호적 감정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양국 관계를 끊임없이 심화·발전시키는 일은 우리의 확고한 의지"라고 화답했다. 또 "양국 간 호혜적인 경제·무역 협력을 강화해 더 많은 성과를 이루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경제 분야부터 양국 관계를 복원하겠다는 의도로 읽히는 대목이다.
김 위원장이 다음달 북한에서 열리는 열병식에 시 주석을 국빈으로 초대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회담에는 최선희 외무상과 김덕훈 노동당 경제부장 등이 배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는 회담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두 정상은 회담 이후 만찬도 함께했다. 의전 관례상 단독 만찬은 국빈방문에 해당한다. 반면 북한·중국·러시아 정상 간 3자 회의는 끝내 불발됐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서울 김성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