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생필품 다수 중국산”
대체공급처 찾기 어려워
![[사진 =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4/28/news-p.v1.20250428.8f1c92f156e14a9b8abdb856d3ddc6d3_P1.jpeg)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대상으로 145%에 이르는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그 피해는 고스란히 미국 소비자들과 기업에 전가될 것이라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미국 소비자들의 가정용품 등 주요 물품들이 대부분 중국산인 데다가 애플의 아이폰 등 미국 핵심 수출품 역시 중국에서 생산되는 비중이 앞도적으로 높고 생산지를 미국으로 이전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27일(현지시간) 미국의 가정용 수입품 중 중국산 비율을 분석한 결과 “중국산 없이 미국 가정을 꾸리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가정용 필수품들이 거의 중국산이기 때문에 중국산에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인들은 집 안을 각종 용품들로 채울 수도 없게 된다는 설명이었다.
가정용품 중 특히 주방용품의 중국산 비율이 높았다.

토스터는 전체 수입품 중 중국산 비율이 무려 99%에 달했다. 이 밖에도 전자레인지(90%), 믹서(83%), 냄비(82%), 접시(80%), 가위(79%) 등도 중국산 비율이 높았다.
중국산은 욕실, 침실, 창고 등 곳곳에서 쉽게 드러났다. 우산(98%), 유모차(97%), 다리미(93%), 빗(91%) 등 중국산 비율은 압도적이었다. 폭죽의 경우 수입품 중 중국산 비율이 96%를 기록해 미국은 중국산 없인 주요 기념일도 축하할 수 없는 실정이다.
NYT는 “중국은 지난 수십 년간 수십억 달러를 쏟아부으며 제조업을 성장시켰다”며 “이제 중국은 전 세계 제품 3개 중 약 1개를 만드는 나라가 되었다”고 전했다.
미국 기업들도 중국에서 생산하는 경우가 많아 대중국 관세 부과의 피해를 피해가기 어렵다는 관측이다. 아이폰 생산의 약 90%가 중국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진 애플이 대표적인 사례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미국으로 이전하는 것을 추진하지만 이것도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다. 수십 년간 아이폰을 생산해온 이력을 바탕으로 구축된 공급망과 인력, 생산 기술 면에서 미국이 중국을 따라올 수 없기 때문이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아이폰 신형 모델을 구성하는 2700개의 부품 가운데 미국에서 생산되는 부품은 약 5%에 불과하다. 중국과 가까운 대만,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이 대부분의 아이폰의 고급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4/28/news-p.v1.20250428.ed44374e9cd247869fe7f33f2ba5395f_P1.jpg)
아울러 중국의 인건비가 여전히 저렴한 데다 인력 수 측면에서 미국을 압도하고 있다는 점도 ‘메이드 인 아메리카’ 구상과 맞지 않는다. 중국을 중심으로 인력과 공급망이 구축돼 있어 미국의 대중 의존도가 되돌릴 수 없는 수준이라는 뜻이다.
앤디 차이 미 샌타클래라대 정보시스템학 교수는 FT에 “처음에는 값싼 노동력 때문에 (중국을) 찾았지만, 이제는 중국에 구축한 생태계 때문에 떠날 수 없게 됐다”며 “미국에는 중국처럼 30만명이 기숙사 생활을 하며 일하는 공장을 만들 수 없다”고 말했다.
아이폰 제조를 위한 원자재 부문에서도 미국의 대중 의존도는 크다.
배터리 수명 연장에 사용되는 란타넘, 스피커에 사용되는 네오디뮴 등은 대부분 중국에서 채굴 및 가공된다. 이미 미국은 희귀광물 수입의 7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상태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의 부담은 실제로 기업과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다. 28일 홍콩 명보에 따르면, 월마트·타깃·홈디포 등 미국의 대형 소매업체들은 최근 중국 공급업체들에 “관세 비용을 부담할 테니 일시 중단된 화물 발송을 재개하라”고 통보했다.
미국에 제품을 수출해온 한 도자기 업체 관계자는 명보와 인터뷰에서 “미국발 컨테이너 발송 일정이 잡혔다”며 “관세는 구매자가 지불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미국의 대형 소매업체들이 단기간 내 중국산 대체품을 찾기 어렵다 보니 울며 겨자 먹기로 관세를 내면서까지 중국산 제품을 수입하겠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로 발생한 비용을 결국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이 부담하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사설을 통해서 “미국의 관세 정책은 자국민에게 직격탄으로 돌아가고 있다”며 “이러한 혼란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상호 보복 관세는 비용이 높은 정치적 퍼포먼스에 불과하다”며 “세계 각국은 문을 닫고 자급자족할 수 없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 배제’는 꿈같은 얘기”라고 비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