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육아휴직 공시 의무화 첫해 코스피·코스닥기업 '양극화'

삼성전자·LG에너지솔루션 등
남성 사용 늘어나 대폭 개선
에코프로비엠 등은 한자릿수
3년 내내 0%인 기업도 다수

  • 김대은
  • 기사입력:2025.04.27 17:06:02
  • 최종수정:2025-04-27 19:36:31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사진설명
올해부터 상장사가 사업보고서 제출 시 육아휴직 사용률을 표기하도록 하면서 코스피 주요 기업의 육아휴직 이용률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다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코스닥 기업은 육아휴직 사용률이 여전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34.5%에서 2024년 39.5%로 소폭 개선됐다. 이는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크게 높아진 덕분이다. 2022년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 이용률은 8.3%에 불과했으나 2024년에는 13.6%로 대폭 올랐다. LG에너지솔루션은 같은 기간 23.8%에서 31.7%로, 삼성바이오로직스도 28.0%에서 34.0%로 육아휴직 사용률이 대폭 개선됐다.

반면 코스피 주요 기업 중에서 육아휴직 사용률이 뒷걸음친 곳도 있었다. SK하이닉스는 육아휴직 사용률이 2022년 7.8%에서 2024년 6.6%로, 같은 기간 현대차는 17.0%에서 15.0%로 소폭 감소했다.

코스닥 기업 중에서는 시가총액 1위 알테오젠이 2022년 0.0%에서 2024년 28.6%로 육아휴직 사용률이 매우 큰 폭으로 개선됐다. 반면 에코프로비엠은 2.0%에서 6.8%, 에코프로는 1.0%에서 4.0%로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낮은 육아휴직 사용률을 보였다. 특히 HLB와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둘 다 3년 내내 육아휴직 사용률이 0%였다.

육아휴직 사용률은 해당 연도 출생 자녀를 가진 직원 중 출생일 1년 이내에 육아휴직을 활용한 이력이 있는 직원 수의 비율로 계산한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기업공시 서식을 개정해 상장기업이 남녀 육아휴직 사용률을 반드시 공개하도록 했다.

[김대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