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이젠 대학졸업장 보다 기술입니다...‘20대 기능장’ 작년 432명

취업 잘되고 수당도 더 받아 산업 기사로 5년 일해야 응시 직업계 학생 고1때부터 준비

  • 권한울
  • 기사입력:2025.08.14 19:00:51
  • 최종수정:2025.08.14 19:00:51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취업 잘되고 수당도 더 받아
산업 기사로 5년 일해야 응시
직업계 학생 고1때부터 준비
현대중공업 사내 기능경진대회 장면.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 사내 기능경진대회 장면.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현대중공업]

“취업이 너무 안 돼서 기능장 두 개를 동시에 땄어요. 30대가 되면 취업이 더 어려울 것 같아 필사적으로 준비했죠.”

대학 졸업 뒤에도 여전히 높은 취업 장벽을 넘기 위해 실무 기술 자격증을 따려는 20·30대가 늘고 있다. 기업이 인재 채용 때 관련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을 우대하고 수당도 더 주기 때문이다.

구직자 입장에서도 취직이 쉬워지고 실질적인 보상이 주어진다는 이점이 생긴다. 현재 취업 상태에 있는 이들이 자격증을 딴 뒤 연봉을 높여 이직을 노리는 사례도 늘고 있다. 기업들은 공정과 설비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재를 뽑아 바로 실전에 투입해 회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이 같은 현상을 반기고 있다.

14일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20대 기능장 취득자 수는 2020년 269명에서 2024년 432명으로 4년 새 60% 늘었다.

기능장은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 자격증으로,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최소 5년 이상의 실무 경험이 있어야 응시할 수 있는 고난도 시험이다. 자격증이 없을 경우에는 최소 9년 이상의 실무 경험이 있어야 한다.

20대에 기능장이 되기 위해서는 10대부터 기능사·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해 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쌓아야 가능하다. 대학 진학을 일찌감치 포기한 대신 조기에 ‘최고 기술자’ 자리에 오르는 이들이 늘어나는 셈이다.

사진설명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