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단독] “학생들이 어떻게 이런 짓을”...댓글 여론조작 시도, 서울대 학생회 탄핵 위기

서울대 총학, 댓글 여론조작 논란에 총운영위서 불신임안건 가결 “尹 집회·국민연금 대응 불신 누적” 최종 사퇴 여부는 9월 전학대회서 결정

  • 김송현
  • 기사입력:2025.05.12 15:34:45
  • 최종수정:2025-05-12 18:18:27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서울대 총학, 댓글 여론조작 논란에
총운영위서 불신임안건 가결
“尹 집회·국민연금 대응 불신 누적”
최종 사퇴 여부는 9월 전학대회서 결정
서울대학교 정문 [서울대학교 제공]
서울대학교 정문 [서울대학교 제공]

지난해 12월 임기를 시작한 서울대 제64대 총학생회가 온라인 커뮤니티 댓글 여론조작 사건으로 출범 5개월 만에 탄핵 직전까지 몰렸다. 특히 서울대 총학생회는 윤석열 전 대통령 퇴진 대회 참여와 국민연금 개편안 대응 등에서 학생들의 신임을 지속적으로 잃어온 까닭에 학생들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12일 매일경제가 입수한 서울대 총운영위원회(총운위) 제32차 회의록에 따르면 총운위는 지난 11일 총학생회 불신임 안건에 대해 과반 찬성(참석자 12명 가운데 찬성 9명, 반대 0명, 기권 3명)으로 가결했다. 총운위는 총학생회장단과 단과대학 학생회장단, 총동아리연합회장으로 구성된 서울대 총학생회의 최고 운영기구다.

불신임 안건이 발의된 건 서울대 총학생회 소속 중앙집행위원장이 온라인 커뮤니티(에브리타임 등)에 총학생회 측의 비판 여론을 무마하려는 댓글을 작성한 사실이 지난 8일 적발돼서다. A씨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 계정으로 총학생회의 행보를 옹호하는 댓글을 다수 게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총학생회는 이번 사건 외에도 수차례 여론 조작 의혹을 받았으나 “해당 건을 제외하면 총학생회의 여론조작 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서울대 각 단과대학 학생 대표자 13인은 서울대 총학생회에 대한 불신임 안건을 지난 11일 발의했다. 총학생회 소속 간부의 댓글 여론조작이 사실로 밝혀지며 총학생회가 학생들의 신임을 잃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번 불신임 안건은 총학생회를 향한 학생들의 불신이 누적된 결과로 해석된다. 총학생회는 지난 2월 윤석열 전 대통령 퇴진 대회 참여를 돌연 철회하고 지난 4월 국민연금 개혁안 대응을 무기한 연기하는 등 학생들의 요구를 도외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지난해 11월에는 김보희 서울대 부총학생회장이 당선 직후 단과대별 득표율을 영·호남 지역에 빗대 ‘지역 및 단과대 비하’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날 총운위의 불신임 결정은 강제성을 가지진 않는다. 최종 불신임 결정은 오는 9월에 예정된 전체학생대표자회의(전학대회)에서 결정된다. 전학대회에서는 총학생회 사퇴 또는 탄핵 여부를 결정할 안건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전학대회는 단과대와 각 학과 대표자 전체가 모이는 회의로, 서울대 총학생회칙에 따르면 총학생회 해임 권한은 전학대회에만 있다.

다만 총운위 불신임안 대상이 된 학생 자치 기구는 대부분 사퇴 혹은 탄핵된 전례를 고려할 때 서울대 총학생회가 향후 임기를 지속할 가능성은 작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 2017년에는 당시 총학생회장이던 B씨가 여성 비하 발언으로 총운위에 의해 직무 정지 처분을 받고 약 2개월 만에 사퇴한 바 있다.

총학생회 측은 당분간 사퇴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이날 총운위에서 김민규 총학생회장은 “9월 전학대회에 ‘총학생회 시그널 재신임의 건’을 상정하고 신임 투표에서 과반 득표에 실패할 경우 즉시 사퇴하려 한다”며 “일부 사업들이 진행 중인 만큼 당장 사퇴 시 피해가 크다. 사퇴 대신 신뢰 회복 기회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