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전단 추가 살포 예고에도 대비 실패
특사경 “순찰로 발견 한계, 적극 신고해달라”

납북자가족모임이 지난 27일 새벽 경기 파주시 임진각 인근에서 대북전단을 기습 살포하면서 경기도가 강조해온 ‘24시간 감시 체계’가 사실상 무색해졌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28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납북자가족모임 소속 최성룡 대표 등 회원 5명은 전날 0시 20분께 문산읍 임진각 평화랜드 인근 펜스 뒤편에서 헬륨 풍선에 대북전단 8개를 매달아 북측으로 띄웠다. 이들은 당초 10개의 풍선을 준비했지만, 헬륨가스 부족으로 일부만 날렸다.
살포된 전단은 납북 피해자 7명의 사진과 설명을 담은 소식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감옥에 갇힌 모습을 합성한 이미지 등이 포함된 비닐 다발(무게 2㎏ 이하)로 구성됐다. 당시 남서풍이 불면서 풍선은 북측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납북자가족모임은 전단 살포와 함께 정부에 납북자의 생사 확인과 송환을 강력히 촉구하는 성명서를 표했다.
최 대표는 “우리의 목적은 경기도나 파주시와 대립하려는 것이 아니라, 북한에 소식지를 보내 납북자와 국군 포로, 이산가족의 생사 확인을 요구하는 것”이라며 “남서풍이 불기 시작해 서둘러 전단을 날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현장에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는 지난해 10월부터 파주, 연천, 김포 등 접경지역을 ‘위험구역’으로 지정하고 대북전단 살포를 막기 위해 24시간 순찰과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감시 체계에 빈틈이 드러난 셈이다.
납북자가족모임은 앞서 23일에도 같은 장소에서 전단 살포를 시도했으나 바람 방향 문제로 중단한 바 있다. 당시 설치해둔 장비를 유지한 채 추가 살포를 예고했던 상황이었다.
이런 가운데 납북자가족모임이 대북전단을 날린 27일 새벽은 휴일이자 심야 시간대였던 탓에 별도의 제보가 없으면 순찰이 이뤄지지 않는 구조적 한계가 노출됐다.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파주 지역은 주간(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과 야간(오후 6시부터 10시)으로 나눠 7명씩 순찰을 돌고 있다”며 “오후 10시 이후에는 상시 순찰 인력이 없고, 주민이나 군부대, 경찰 등으로부터 제보가 들어오면 즉시 출동하는 체계”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북전단 살포는 으슥한 장소나 차량 안에서 은밀하게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순찰만으로 모든 상황을 적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주민이나 관계 기관이 살포 정황을 발견할 경우, 즉시 특사경이나 경찰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