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가 우즈베키스탄 공항 운영권 확보를 눈앞에 뒀다.
인천공항공사는 22일 우즈베키스탄 우르겐치공항 개발·운영(PPP)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인천공항공사가 3년간 2000억원을 들여 연간 300만명 처리 규모 신규 여객터미널을 건설하고 19년간 운영하는 구조다. 인천공항공사가 지분 100%를 보유해 사장 임명 등 주요 결정 권한을 갖는다. 이번 사업은 인천공항공사가 수주한 해외 공항 PPP 사업 가운데 최초로 터미널 운영권 100%를 확보해 주요 임원 임명 등 공항을 건설·운영하는 데 필요한 주요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서부 호라즘 지역의 관문 공항인 우르겐치공항은 우즈베키스탄 3위 공항으로, 지난해 여객 70만명이 이용했다. 이는 코로나19 전인 2019년 대비 175% 늘어난 숫자다. 인천공항공사는 향후 약 3개월간 본협상을 거쳐 최종 실시협약을 체결한다. 실질적인 공항 운영은 2029년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인천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인천공항공사는 22일 우즈베키스탄 우르겐치공항 개발·운영(PPP)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인천공항공사가 3년간 2000억원을 들여 연간 300만명 처리 규모 신규 여객터미널을 건설하고 19년간 운영하는 구조다. 인천공항공사가 지분 100%를 보유해 사장 임명 등 주요 결정 권한을 갖는다. 이번 사업은 인천공항공사가 수주한 해외 공항 PPP 사업 가운데 최초로 터미널 운영권 100%를 확보해 주요 임원 임명 등 공항을 건설·운영하는 데 필요한 주요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서부 호라즘 지역의 관문 공항인 우르겐치공항은 우즈베키스탄 3위 공항으로, 지난해 여객 70만명이 이용했다. 이는 코로나19 전인 2019년 대비 175% 늘어난 숫자다. 인천공항공사는 향후 약 3개월간 본협상을 거쳐 최종 실시협약을 체결한다. 실질적인 공항 운영은 2029년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인천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