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이후 6월말께 인상 추정
“적자 규모 커 미룰 수 없어”
서교공 누적적자 18.9조원
부채 7조...하루 이자 3억원
하루 무임승차 751만명 달해
![서울 종로3가역에서 노인들이 우대권을 사용해 지하철 개찰구를 통과하고 있다. 본 기사와 관련 없음. [박형기 기자]](https://wimg.mk.co.kr/news/cms/202504/21/news-p.v1.20250421.c178e4cca5254d9a9abbf294966d8e8f_P1.jpg)
수도권 지하철 왕복 비용이 3000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의회가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절차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경기도의회는 지난 15일 임시회를 열고 ‘경기도 도시철도 운임 범위 조정에 대한 도의회 의견청취안’을 의결했다.
의견청취안은 현재 1400원인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을 1550원으로 150원 인상하는 내용이 골자다. 인상 시기는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협의를 거쳐 대통령 선거 이후인 6월 말쯤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소비자정책위원회를 거치면 요금 인상을 위한 행정적 절차는 마무리될 전망이다. 이후에는 요금 시스템을 운영하는 티머니가 요금 시스템 개편에 나선다.
인상 시기는 관계 지방자치단체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정책협의 이후 결정되는데, 가장 많은 노선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시가 사실상 결정권을 쥐고 있다.
정치적 부담이 커 교통 요금 인상 시기가 하반기로 미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하지만 서울시는 서울교통공사의 적자 규모가 워낙 커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 서울교통공사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전년보다 40% 증가한 7241억원, 누적 적자는 18조9000억원이다. 부채도 7조3474억원으로 하루 이자는 3억원에 육박한다.
특히 무임승차 인원이 하루 751만 명에 달해 이로 인한 손실액이 한해에만 약 4000억원이 발생하고 있다.
한 교통업계 관계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금 인상과 무임수송 손실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지자체 교통공사의 적자가 만만치 않은 상황으로,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