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의 메뉴판과 포장지에 열량을 의무적으로 표기하는 법이 시행 중이지만 칼로리 섭취를 줄여 질병을 막기에는 영향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과학저널 네이처인간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따르면 메건 폴든 리버풀대 박사팀은 메뉴판 열량 표기가 칼로리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영국 정부는 지난 2022년 4월부터 잉글랜드에서 250명 이상의 직원을 둔 모든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메뉴판에 칼로리 표시를 의무화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열량 표시 의무화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해 소비자들의 행동 변화 여부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지난 2021년 8월부터 12월까지 잉글랜드 소재 카페와 식당 등 330개 점포에서 연령, 성별, 인종, 교육 수준이 다양한 3308명에게 칼로리 표시와 관련한 인지 및 활용도, 구매 및 소비 데이터를 수집했다. 또 지난 2022년 8부터 12월까지 같은 점포에서 3270명에게 똑같은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칼로리 표시에 대한 인지도는 의무화 시행 전 16.5%에서 시행 후 31.8%로 상승했다. 하지만 실제로 구매한 음식의 양이나 섭취한 칼로리는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칼로리 표시 의무화 이후 음식을 선택할 때 열량 정보를 활용한다고 답변한 고객은 전체 연구 대상의 22%에 그쳤다. 연령, 성별, 인종, 교육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다만 칼로리 표시에 대한 인지도는 여성, 고령자, 사회·경제적 수준이 상당한 그룹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도 비슷한 연구 결과가 도출됐다. 일례로 뉴욕에서 메뉴에 칼로리 표기를 의무화한 이후 식당을 찾는 소비자 가운데 25%가 열량 정보를 확인했다고 응답했지만, 막상 소비자가 섭취한 칼로리의 총량은 이전과 비교해 변화가 없었다.
전문가들은 건강한 소비자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열량 표시 조항을 개선하고 대중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이려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비만 퇴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스티븐 로즈 런던대 신경생물학 교수는 저서를 통해 “많은 식당에서 음식 이름 옆에 칼로리 총량을 표시해야 하는데 안타깝게도 이런 규정이 더 건강한 음식을 먹는 것으로 이어진다고 믿을 만한 근거는 많지 않다”고 꼬집었다.
에릭 로빈슨 리버풀대 심리학과 교수는 “비만은 주요 공중 보건 문제 중 하나”라며 “이 연구 결과는 기업의 규정 준수 개선, 칼로리 섭취에 대한 대중 교육, 더 명확한 표시 같은 전략의 조합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