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감세’는 민주당 추구 복지 국가 역행하는 길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0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영남권 합동연설회’에서 정견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4/21/rcv.YNA.20250420.PYH2025042008000005700_P1.jpg)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21일 “어느 한 후보가 이렇게 일방적인 표를 가져가는 것은 건강한 민주당을 위해, 또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이날 YTN 인터뷰에서 전날까지 진행된 민주당 지역 순회경선 결과를 두고 이같이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2등을 하려고 나온 것이 아니다”라며 “네거티브를 하지 않되 비전과 정책으로 승부해 1등을 차지할 수 있는 전략을 짜겠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경쟁자인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를 겨냥해 “정책에 있어 가장 좋지 않은 것은 일관성을 잃고 예측 가능성을 해치는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그는 ‘과거 이 후보의 기본소득론 관련 입장이 오락가락한다는 비판을 한 적이 있지 않나’라는 질문에 “기본소득이 맞냐 틀리냐를 차치하더라도 정책이 일관성을 잃는 것은 좋지 않다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얘기한 것”이라고 답했다.
김 후보는 또 이 후보의 실용주의 노선을 염두에 둔 듯 “실용적인 접근은 필요하지만 추구하는 가치 자체가 바뀌면 안 된다”며 “민주당은 진보의 가치로 중심을 분명히 잡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증세 문제를 예로 들며 “정치권이 경쟁적으로 감세 경쟁을 벌이고 있지만, 나오는 얘기들 대부분이 ‘부자 감세’”라며 “이는 민주당이 추구하는 복지국가 측면에서도 거꾸로 가는 길이다. 정치인과 민주당은 복지국가를 만들기 위해 증세를 주장할 정도의 용기는 가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김 후보는 이 후보가 개헌론에 소극적인 점에 대해 “이 후보와 3년 전 대선 때 연대를 하면서 임기 단축 개헌을 약속했는데, (지금은) 이 후보가 별로 반응이 없는 것 같다”며 “3년 전 약속을 지켜야 한다. 또 책임 있는 정치인, 특히 대선주자는 제7공화국을 위한 노력에 앞장서야 한다”고 했다.
권력기관 개혁에 대해서는 “검찰의 경우 기소청을 따로 떼는 등 완전히 해체하는 수준으로 개혁해야 한다”며 “기획재정부는 재정 기능을 떼어낸 재정 부분과 기획예산처로 분리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