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의사인력 수급추계위 출범...내후년도 의대 정원 논의 시작

의사인력 수급추계위 첫 회의 열려 위원장은 김태현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장 2027년도 의대 정원 산출이 과제 “AI 등 불확실성 커 추계 쉽지 않을 듯”

  • 최원석
  • 기사입력:2025.08.12 14:42:53
  • 최종수정:2025-08-12 15:52:25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의사인력 수급추계위 첫 회의 열려
위원장은 김태현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장
2027년도 의대 정원 산출이 과제
“AI 등 불확실성 커 추계 쉽지 않을 듯”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된 김태현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회장이 12일  열린 수급추계위원회 첫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된 김태현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회장이 12일 열린 수급추계위원회 첫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에 의사가 얼마나 필요한지 추계하는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가 12일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갔다. 위원회는 앞으로 2주에 한 번씩 만나 의사 인력 추계를 논의하기로 했다.

김태현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장(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위원장을 맡아 2027년도 의대 정원 논의를 이끌게 됐다. 김 위원장은 학회‧연구기관과 공급자 단체에서 중복 추천을 받기도 했다.

위원회는 12일 오후 서울 중구에서 첫 회의를 열고 위원장 선출, 향후 운영 계획 등을 논의했다. 지난 4월 위원회 내용을 담은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후, 약 4개월 만이다.

이날 회의에는 의료 분야 15명의 전문가와 이형훈 보건복지부 2차관, 신정우 보건사회연구원 보건의료정책연구실 의료인력수급추계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31일 전문가 위원 15명을 발표했다. 공급자 단체 추천 8명, 수요자 단체 추천 4명, 학회‧연구기관 추천 4명으로, 공급자 측의 위원이 과반을 넘는다.

의료계는 의정갈등 이후 줄곧 “현장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과학적 추계”를 주장해왔다. 이날 위원회가 본격 가동을 시작하며 의료계의 이 같은 바람이 일부 해소된 것이다.

위원회는 앞으로 의사 인력을 중장기적으로 추계하는 방법을 찾는 일에 나선다. 의정갈등의 가장 큰 원인이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증원 발표’였던 만큼, 앞으로는 의사 인력의 공급과 수요를 체계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구체적인 논의는 보건사회연구원이 지금까지 연구한 인력 추계 모델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토론을 이어가는 형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보건사회연구원에는 의료인력수급추계센터가 신설되기도 했다.

위원회는 당장 2027년도 의대 정원부터 산출하게 된다. 위원회가 내린 결론이 바로 의대 정원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고, 보건의료정책심의원회가 위원회의 결과를 존중해 최종 결정한다.

위원들의 호선으로 위원장에 선출된 김 위원장은 “위원회에 기대하는 분들이 많으신데,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좋은 결과를 얻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각계에서 추천한 전문가들이 많으신데, 각 단체를 대변하기보다는 전문가 관점에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을 심도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올 연말까지 바쁜 일정으로 움직어야 한다”며 “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이루어졌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2027년도 의대 정원은 내년 4월까지 결정되어야 하는 만큼, 위원회는 남은 9개월간 산출 근거와 방법, 결과를 논의하게 된다. 올 연말까지 내후년 의대 정원에 대한 대략적인 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적으로는 윤석열 정부에서 의대 증원의 근거로 제시했던 연구 결과들을 검토한다. 김 위원장은 회의 직후 “다음 회의에서는 그간의 주요 연구 결과들을 리뷰하고 정리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홍윤철 서울의대 교수의 연구들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의사 인력 수급 추계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의사 인력 자체가 사회적으로 논쟁이 많은 주제이고, 인구구조, 신기술 도입 등 쟁점도 많기 때문이다.

공급자 단체 추천을 받은 김현철 연세대 의대 교수는 “인공지능(AI)이 모든 산업 분야를 바꾸고 있는데 의료계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며 “불확실성이 큰 시기이기 때문에 의사 인력 추계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투표와 같은 방식보다는 최대한 논의를 통해 합의를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