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최대 30분 들여 심층 답변”...오픈AI, 연구용 에이전트 기능 ‘딥리서치’ 출시

o3 모델 기반 심층 답변...질문당 5~30분 ‘고난도 벤치마크에서 딥시크 R1 넘어’ 월 200달러 프로 요금제에 먼저 적용

  • 정호준
  • 기사입력:2025.02.03 11:36:17
  • 최종수정:2025.02.03 11:36:17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o3 모델 기반 심층 답변...질문당 5~30분
‘고난도 벤치마크에서 딥시크 R1 넘어’
월 200달러 프로 요금제에 먼저 적용
오픈AI 신규 기능 ‘딥리서치’ [출처 = 오픈AI 블로그]
오픈AI 신규 기능 ‘딥리서치’ [출처 = 오픈AI 블로그]

오픈AI가 마치 연구원처럼 심층된 답변과 보고서를 제공하는 챗GPT의 신규 에이전트 기능 ‘딥 리서치’를 내놨다. 시장 분석부터 연구 등 수많은 웹사이트를 탐색해야 하는 장시간 작업을 단 한 번의 질문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오픈AI는 3일 오전 일본에서 생방송을 통해 이같은 ‘딥 리서치’ 기능을 발표하고 데모를 시연했다.

딥 리서치는 단계별 조사가 필요한 복잡한 작업에 특화된 기능으로, 추론에 특화된 모델인 오픈AI o3 모델을 활용해 방대한 양의 텍스트 와 이미지를 분석하고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오픈AI는 블로그에서 “사용자를 대신해 독립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에이전트”라며 “ 사용자가 명령을 내리면 수백 개의 온라인 소스를 찾아 분석하고 종합하여 리서치 애널리스트 수준의 종합 보고서를 작성한다”라고 설명했다.

시간을 충분히 들여 필요한 답변을 제공하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오픈AI는 딥리서치의 작업당 5~30분 가량이 소요된다고 밝혔다.

이날 오픈AI가 공개한 딥 리서치 데모에서는 사용자가 “선진국 상위 10개국과 개발도상국 상위 10개국의 지난 10년간 모바일 보급률 추이와 iOS 및 안드로이드 도입률, 국가별로 새로운 언어 학습에 대한 관심 수준을 분석해달라”라는 심층 보고서를 요청하면서 이와 함께 “챗GPT의 새로운 iOS 번역 애플리케이션(앱)을 출시할 경우 어느 시장을 먼저 공략해야 할지 추천해달라”라고 부탁했다.

그러자 딥 리서치는 스탯카운터, 스태티스타 등 다양한 통계 조사 기관을 인용해 내용을 표 형태로정리해 제공하면서 “챗 GPT 기반 iOS 번역 앱은 iOS 이용자층이 많고 언어 학습에 대한 수요가 강력한 시장을 겨냥해야 한다”라며 “일본,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가 우선순위”라고 제안했다.

이외에도 오픈AI는 다양한 요청 사항을 반영하는 개인화된 쇼핑이 필요할 때도 딥 리서치를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딥 리서치 기능은 AI 모델의 가장 까다로운 벤치마크로 평가받는 스케일AI의 ‘인류의 마지막 시험’ 벤치마크에서 26.6%의 정확도를 기록하며 오픈AI o1, o3-미니뿐만 아니라 9.4%를 기록한 딥시크-R1을 크게 제쳤다. 특히 오픈AI o1과 비교했을 때 딥리서치가 화학, 인문학과 사회과학, 수학에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고 오픈AI는 설명했다.

딥 리서치 기능은 월 200달러 요금제인 챗GPT 프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날부터 서비스 예정이며, 향후 챗GPT 플러스와 비즈니스 요금제 이용자로도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구글도 자사 AI 서비스인 ‘제미나이 어드밴스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동명의 리서치 에이전트 ‘딥 리서치’를 지난해 12월 공개한 바 있다. 복잡한 주제를 탐구해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용도도 유사하다.

일본 찾은 샘 올트먼...한국·인도 등 방문 예정
지난 1월 2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기자회견에 참석한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CEO. AFP 연합뉴스
지난 1월 2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기자회견에 참석한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CEO. AFP 연합뉴스

오픈AI의 딥리서치 기능 발표는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일본을 방문 중인 가운데 이루어졌다. 이전 발표와 다르게 오픈AI 일본 지사에서 라이브가 진행된 것도 이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올트먼 CEO는 생방송에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았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일본 외신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을 만나고 이날 오후 도쿄 총리관저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면담할 예정이다.

이어 올트먼 CEO는 4일 한국을 찾을 예정이며, 이후 6일 인도 뉴델리, 7일 독일 베를린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4일 오전 오픈AI 개발자 행사인 ‘빌더 랩(Builder Lab)’을 열고 AI 스타트업 등 국내 개발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