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대출·수수료 지원 추진
![[사진 =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4/21/news-p.v1.20250420.f8bbb4b2245c42d69ab7088a07610aff_P1.jpg)
배달의민족, 쿠팡이츠의 배달 수수료 횡포로 영세 외식 업체들이 가혹한 경영난에 직면하자 서울시와 신한은행이 손잡고 ‘땡겨요’ 입점 업체 지원에 나섰다. ‘땡겨요’는 신한은행이 사회공헌 차원에서 도입한 공공배달 앱으로 배달 수수료가 2%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A12면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시와 신한은행은 ‘땡겨요’ 입점 업체를 대상으로 저금리 대출을 실시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협의를 시작했다. 서울시와 신한은행이 공동기금을 출연하고,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이를 보증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연 5~7% 금리로 대출을 시행하되,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는 소상공인에게는 우대금리를 적극 적용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자금난으로 인해 신용도가 떨어져 제2금융권에서 연 15%대 고금리로 대출을 받던 영세 자영업자들이 최소 연 4%대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신한은행은 또 한국외식산업협회와 손잡고 400억원을 투입해 배달 플랫폼 ‘땡겨요’ 사용 확산을 위한 영세 프랜차이즈 가맹점 대상 마케팅을 실시할 방침이다.
배달 플랫폼 업계 1위 배달의민족이 배달뿐만 아니라 지난 14일부터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 6.8%를 적용하겠다고 일방 통보하면서 자영업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배민은 지난해 7월에는 배달 중개 수수료를 6.8%에서 9.8%로 인상한 바 있다. 자영업자들은 소비 침체 국면이 길어지는 와중에 과도한 배달·포장 수수료로 인해 자금난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 중구의 한 소비자는 “포장은 음식점이 하고, 직접 찾아가는 것은 소비자인데 왜 플랫폼 업체가 중간에서 6.8%나 수수료를 가로채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땡겨요는 2022년 1월 서울에서 처음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서울시가 최근 공공배달 서비스인 서울배달플러스 단독 운영사로 땡겨요를 선정했다. 땡겨요 가맹점은 지난해 말 19만3063곳에서 지난 18일 21만7254곳으로 늘어났으며 같은 기간 누적 회원 수는 411만명에서 480만명으로 증가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