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이제는 ‘월세시대’…1분기 서울 주택 월세 비중 65%

작년 4분기 61.2% → 올해 1분기 64.6% 2014년 이후 분기 기준 ‘최대’

  • 정수민
  • 기사입력:2025.04.28 15:08:29
  • 최종수정:2025.04.28 15:08:29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작년 4분기 61.2% → 올해 1분기 64.6%
2014년 이후 분기 기준 ‘최대’
서울의 한 부동산 모습. (출처=연합뉴스)
서울의 한 부동산 모습. (출처=연합뉴스)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 주택 월세 비중이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4월 28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서울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 계약 총 23만3958건 가운데 월세 계약은 6만2899건으로 전체의 64.6%를 차지했다. 대법원에 확정일자 정보가 현재 방식으로 취합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월세 전환 속도는 굉장히 빠르다. 2021년까지만 해도 연평균 40%대 수준이던 월세 비중은 역전세난과 전세사기가 사회 문제로 떠오른 2022년과 2023년 각각 53%, 56%대로 높아졌고, 지난해에는 평균 60.3%까지 치솟았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2분기 59.1%에서 3분기 60.3%, 4분기에 61.2%로 증가세를 보인 뒤 올해 1분기에 65%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월세 전환 속도가 높아진 배경으로는 지속된 전셋값 상승이 꼽힌다. 2∼3년 전 심각했던 역전세난이 진정된 후 공급 부족 우려가 부각되며 최근 1년 이상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은행 대출 금리 인하가 지연되면서 인상된 보증금을 월세로 돌리는 경우가 많아졌다.

빌라 등 다세대·연립은 전세사기 우려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고액 보증금 기피 현상이 커진 데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 기준 강화로 불가피하게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빌라 매매 가격이 하락하면서 보증 가입 기준(공시가격의 126%)을 맞추기 위해 보증금을 낮추고 일부를 월세로 돌리는 식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4월 들어 전세 시장이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들며 거래가 감소한 만큼 일부 사정이 급한 집주인들은 보증부 월세 일부를 전세로 돌릴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 추세는 임대차 시장 변화와 함께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