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9일 앞두고 기자간담회 경제·정치·외교 청사진 밝혀 李정부 인사기준은 충직·유능 안정적인 국정 운영하려면 국회 여대야소가 바람직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지난 24일 경기 안산시 단원구 안산문화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세월호 참사 유가족으로부터 프리지어 꽃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특정인을 겨냥한 정치 보복은 결단코 없을 것"이라며 중도·보수 표심 단속에 나섰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지지율 격차가 좁아지자 기자간담회를 자청하며 '안정적 리더' 이미지를 만들려고 애쓰는 모양새다.
25일 이 후보는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77분간 기자간담회를 열어 "대립과 갈등의 정치가 만들어낼 악순환 고리를 반드시 끊어야 한다"며 정치 보복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대선을 9일 앞뒀는데도 각종 여론조사에서 중도·보수층이 이탈하는 움직임이 포착되자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여론 진폭은 선거 때 언제나 있는 일"이라며 의미를 축소하면서도 중도·보수 표심 구애를 멈추지 않았다. 정치·사회 부문에서 국민 통합을 강조하고자 정치 보복 중단 선언을 꺼냈다면, 경제·산업 부문에서는 성장·회복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우클릭 진정성을 의심하는 목소리는 '공세적 억지 주장'이라고 몰아세웠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 핵심 과제는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며 "지금은 회복·성장·통합에 더 방점을 찍고 국정도 그렇게 운영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통합·회복을 위한 첫 번째 과제로는 내란 종식을 내세웠다. 정치 보복은 없겠지만 12·3 계엄은 단죄하겠다고 한 까닭이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 체제와 국민 생명을 위협한 내란 세력의 죄는 단호하게 벌하겠다"고 말했다. 계엄 정당화를 위해 북한 도발을 유도했다는 외환유치 의혹도 파헤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정부 인사 기준으로는 △충직 △능력 △청렴을 내세워 눈길을 끌었다. 이 후보는 "유일한 기준은 능력, 청렴함, 충직함"이라며 "주요 공직자 국민추천제를 활성화하겠다"고 공약했다. 특히 충직을 강조했는데, 국민주권 정부라는 국정 철학을 '철저하게' 따를 수 있는 사람을 쓰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 후보는 "국민의 일꾼이기 때문에 국민에게 충직해야 한다"며 "능력이 있더라도 사적 이익을 도모하거나 권력을 남용하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지역·성별·계층 안배는 후순위로 미뤄뒀다. 이에 대해선 "비슷한 조건이라면 균형을 맞춰야겠지만 우선순위로 따지면 충직·유능"이라고 설명했다.
경제와 산업에 대해서는 실용적으로 접근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분배 없는 성장은 불가능하지만 지금 단계에선 성장에 훨씬 큰 방점을 찍어야 한다"며 "경제는 철저히 실용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법·검찰개혁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모든 에너지를 경제·민생 회복에 둬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추가경정예산안을 신속히 편성하고 규제개혁에 나서겠다고 공언했다. 추경 편성은 산업 지원보다는 골목상권 회복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네거티브 규제 도입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이 후보는 "규제개혁 담당 기구를 별도로 만들어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입법·행정권 독점 우려에는 황당하다며 신경질적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이 후보는 "일이 안 되는 것보다는 되는 게 낫지 않으냐"며 "정권이 부도덕하거나 무능한 게 아니라면 안정적 국정 운영이라는 측면에선 여대야소가 바람직하다"고 역설했다. 언론이 보고 있다며 통제 시스템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한미동맹 강화라는 외교안보 정책도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일방적으로 손해 보는 것은 외교가 아닌 약탈"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우회 비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