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신문은 애플이 이르면 내년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의 조립 라인을 모두 인도로 전환할 것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다만 이를 현실화하기 쉽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상당수 아이폰 부품이 중국에서 생산되는 데다 중국 당국이 아이폰 조립 공장 이전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FT에 따르면 애플은 2026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을 연간 6000만대 이상 인도에서 조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중 약 80%가 현재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미국향 아이폰 전량을 인도에서 제조하기 위해서는 인도 생산량을 두 배로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
애플은 최근 몇 년간 폭스콘과 타타 일렉트로닉스를 통해 인도에서 생산능력을 꾸준히 확대해왔지만 여전히 아이폰 대부분을 중국에서 조립하고 있다. 그런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격이 중국에 집중되면서 애플도 큰 타격을 입었다. 올 들어 애플 주가는 14% 급락한 상태다.
이에 애플은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으로 급히 수출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적용한 상호관세 중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일시 유예 조치를 내렸지만 중국산 수입품 전반에 적용되는 20% 별도 관세는 여전히 부과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에도 26%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지만 현재 인도 정부가 미국과 양자 무역협정 체결을 추진 중이어서 일시 중단된 상태다.
한편 애플이 미국향 아이폰 조립공정을 전량 인도로 옮기려는 계획이 실현되기 어려울 수 있다고 같은 날 CNBC는 보도했다. 시장분석기업 모펫 네이선슨의 모바일 부문 애널리스트 크레이그 모펫은 지난 25일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조립공정 이전은 중국의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 "조립공정을 옮긴다 해도 공급망은 여전히 중국에 뿌리를 두고 있다"며 "아이폰 부품은 중국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관세로 인한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도 어렵다"고 봤다.
[문가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