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춘천시, 외국인 유학생 정착·취업 지원 정책 강화

지역 상생형 숙소 도입 농가 시간제 일자리 추진

  • 이상헌
  • 기사입력:2025.04.15 10:44:06
  • 최종수정:2025.04.15 10:44:06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지역 상생형 숙소 도입
농가 시간제 일자리 추진
춘천시청 전경. [뉴스1]
춘천시청 전경. [뉴스1]

춘천시는 외국인 유학생 정착 및 취업 지원 정책을 확대 시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앞서 춘천시는 지난 1월 국제협력관 산하에 외국인정책팀을 신설하고 유학생 주거, 취업, 비자 문제 해결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 체계를 구축했다.

지난해 말 기준 춘천지역 내 등록 외국인은 5052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7%를 차지한다.

그동안 유학생 인턴십, 시티투어, 겨울옷 나눔 등 지역사회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으며 명예통역관과 명예홍보대사 제도, 국제도시화 위원회 등을 통해 글로벌 교류 기반을 다져왔다.

앞으로 외국인정책팀을 통해 유학생 주거 안정과 취업 연계, 비자 전환 등 실질적인 지원책을 확대할 방침이다.

우선 관내 대학 기숙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지역 상생형 숙소’ 도입을 추진한다. 대학, 민간 소유주, 지자체가 협력해 유휴 건물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안정적인 유학생 거주 환경 조성이 목표다.

또 유학생이 주말이나 방학 중 지역 농가에서 일할 수 있도록 시간제 일자리를 연계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춘천시는 강원대학교, 춘천시 농어업회의소와 협약 체결을 논의 중이다. 더불어 유학생과 다문화가정이 풍물시장 야시장 내 외국 음식 매대를 직접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춘천시는 중장기적으로 관내 대학과 기업, 산업단지 공단과 협력해 유학생 전공과 기업 수요를 연계한 맞춤형 인턴십 및 채용 모델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이달 중 강원대 유학생을 대상으로 지역 기업 견학과 시범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며, 거두리 농공단지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채용 수요 조사도 벌이고 있다.

춘천시 관계자는 “외국인 유학생 정착을 위한 비자 전환과 관련해 제도적 어려움이 있는 만큼 강원특별법에 특례 조항 신설 건의 등도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