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설명회 보이콧하며 “강제수용 반대한다”
‘공공택지 조기 공급’ 9·7대책 첫 시험대 놓여
![천주교 서울대교구 12지구와 서리풀2지구 원주민들이 1일 서울시 서초구 우면동 성당에서 ‘강제 수용 반대’를 위한 성명문을 낭독하고 미사 예배를 드렸다. [제공=천주교 서울대교구 12지구]](https://wimg.mk.co.kr/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1abc365fc3114ce0a5c36f503a0a73bb_P1.png)
![천주교 서울대교구 12지구와 서리풀2지구 원주민 약 200여명이 1일 서울시 서초구에서 ‘강제 수용 반대’를 위한 도보 행진을 진행했다. [제공=천주교 서울대교구 12지구]](https://wimg.mk.co.kr/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165ddffe3a6e47269f1bf9628c43fe53_P1.png)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서울 서초구 종합체육관에서 서리풀2공공택지지구의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열었지만 주민들이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아 무산됐다. 사진은 주민들의 불참으로 지연되고 있는 주민설명회 모습 [사진=위지혜 기자]](https://wimg.mk.co.kr/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0de5d29a088242aeac8fa84e082c4bdb_P1.png)
서울에서 12년 만에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해제해 추진하는 서리풀 공공주택지구 사업이 첫발부터 천주교와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위기에 봉착했다.
정부는 인허가 절차 간소화, 보상 지연 요인 개선 등을 통해 2029년 착공에 돌입한다는 계획이지만, 우면동 성당을 비롯한 원주민들은 “강제수용 방침을 강력하게 반대한다”며 맞서고 있다.
1일 오후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서울 서초구 서초종합체육관에서 서리풀2공공택지지구의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열었지만 주민들의 불참으로 무산됐다. 설명회 문 앞에 의자를 두고 막으며 개최를 막아섰던 주민들은 설명회가 무산되자 박수를 쳤다.
서리풀 지구는 지난해 11월 정부가 수도권 공급 대책의 일환으로 ‘그린벨트 해제’를 발표하며 지정을 준비 중인 지구다. 발표된 지 10개월만에 환경 측면의 계획 적정성과 입지 타당성 등을 검토하는 전략영향평가 초안이 나왔지만 사업은 초기부터 주민들의 반대로 난항을 겪는 모양새다.
초안에 따르면 정부는 서리풀1지구(원지동·신원동·염곡동·내곡동 일대) 201만8074㎡ 1만8000가구, 서리풀2지구(우면동 일대) 19만3259㎡에 2000가구로 총 2만가구를 공급한다. 이중 절반을 넘는 1만1000가구는 신혼부부용 장기전세주택인 ‘미리내집’으로 조성한다. 2029년 착공 및 분양, 2031년 첫 입주가 목표다.
이날 오전 열린 서리풀1지구 주민설명회는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됐다. 1지구에서도 일부 주민들의 반대는 있지만 주민들은 총주민대책위원회를 꾸리고 합리적인 토지보상을 강조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서리풀 2지구다. 우면동 성당과 집성촌이 위치한 2지구는 개발계획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12지구는 이날 오전 설명회를 앞두고 우면동 성당에서 강제 수용 저지를 위한 성명서를 발표하고 미사 기도를 했다. 이어 성당 신도들과 송동·식유촌 마을 주민들 200여명은 함께 주민설명회가 열리는 ‘서초종합체육관’까지 반대 도보행진을 진행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4000명 신자들의 신앙의 터전인 성당과 주민들의 삶을 담고 있는 마을을 철거하고, 20층이 넘는 고층 아파트 단지를 설계하겠다는 계획은 ‘종교의 자유, 민주주의, 환경, 문화’라는 ‘21세기 시대 정신’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며 “국토부와 서울시의 신속한 공식 답변을 요청한다”고 했다.
이들은 송동마을·식유촌은 집단취락지구로 조선시대 단종의 장인과 장모묘가 있는 480년 된 집성촌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또 서리풀2지구 대부분이 비오톱 1-2등급지라며 맹꽁이 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 환경을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존 거주민과 새로운 세대가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서리풀2지구’가 개발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서리풀 지구는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택지 조기 공급을 위한 제도 개선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9·7 공급대책에서 전략환경영향평가 등 인허가 절차를 단축하고 보상 협조 장려금 신설, 협의 기간 단축, 보상 마무리 단계의 퇴거 불응자 조치로 토지 보상에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