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철도계획 파기 못참아" 위례신도시 주민 집단행동

위례신사선 재정사업 전환
"수천억 교통분담금 냈는데
예타통과 못하면 또 낭패"
주민반발 16일 시청서 시위

  • 김유신
  • 기사입력:2025.05.13 16:44:15
  • 최종수정:2025-05-13 19:16:57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사진설명
위례신도시 주민들이 철도 신설 무기한 연기에 반발하며 집단 행동에 나선다. 서울시의 위례신사선 재정사업 전환을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이들은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를 대상으로 위례신도시에 조속한 철도 신설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도 열기로 했다. 2008년 신도시가 조성될 당시 주민들이 광역교통분담금을 부담했지만 17년째 철도가 놓이지 않으며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위례신도시시민연합은 오는 16일 서울시청 앞에서 국토부와 서울시를 대상으로 조속한 철도 신설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를 개최한다. 위례신도시 주민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것은 신도시 조성 당시 정부가 약속한 철도 계획이 무기한 연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위례신사선은 위례신도시와 지하철 3호선 신사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으로 위례신도시 교통망 개선을 위한 핵심 사업이다. 2008년 위례신도시 기획 단계부터 추진됐다. 하지만 최초 민간사업자인 삼성물산이 2016년 손을 떼고, 이후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GS건설 컨소시엄도 포기하면서 사업이 장기 표류하고 있다.

서울시는 새로운 사업자를 찾기 위해 두 차례 공고를 냈지만 공사비 부담으로 건설사들이 입찰에 나서지 않으며 유찰돼 작년 11월 재정투자사업으로 전환됐다. 즉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철도를 짓겠다는 뜻이다.

문제는 재정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이 녹록지 않다는 점이다. 시민연합 측은 "이미 2018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사업을 2025년에 다시 하겠다는 것은 시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만약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탈락할 경우의 대책은 제시된 바 없어, 사업 추진에 대한 진정성이 의심된다"고 밝혔다.

시민연합 측은 서울시를 상대로 민자사업 해지를 취소해달라는 내용의 행정소송도 제기해 오는 6월 변론이 실시될 예정이다. 위례신도시 주민들이 이같이 반발하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08년 국토부가 위례신도시 개발을 발표할 당시부터 광역교통 대책을 약속했고, 주민들은 주택을 분양받으며 총 1조6800억원을 광역교통분담금으로 부담했다. 이 중 4300억원은 위례신사선과 위례과천선 등에 투입될 예정이었는데, 실제 착공은 요원한 상태라는 주장이다.

최근 국토부가 공개한 위례과천선 노선도에 위례신도시 역이 빠지며 주민들의 반발은 더 커지고 있다. 위례과천선은 과천시와 강남구, 송파구를 연결하는 총 길이 28.25㎞의 광역철도 민간투자사업이다.

최근 공개된 노선도에 따르면 위례과천선의 3개 노선 중 송파구에 신설되는 노선의 종착역은 지하철 8호선 문정역과 복정역 인근이다. 위례신도시 주민들은 "위례과천선이 위례 중심부를 경유하기로 한 원안은 사라지고, '문정~압구정 경유 노선'으로 변질됐다"며 "위례신도시 주민들을 배신한 대표적 사례"라고 꼬집었다.

[김유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