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
사업 시행 계획 심의안 4건 통과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로 불리던 노원구 중계본동 백사마을 재개발 사업이 오는 11월 착공한다.
1960년대 후반 서울 도심 개발에 따른 철거민들이 불암산 자락 ‘산104번지’에 집단 이주하며 형성된 백사마을은 3000가구가 넘는 자연 친화형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25일 서울시는 지난 24일 열린 제3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에서 ‘중계본동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마포로 4구역제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사업’, ‘관수동 제8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사업’, ‘신안빌라 재건축 정비사업’ 등 4건의 사업 시행 계획을 위한 각종 심의안을 통합 심의해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중계본동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은 일명 백사마을로 알려진 노원구 중계본동 30-3번지 일대를 26개 동, 지하 4층∼지상 35층, 3178가구 규모의 아파트 단지로 개발하는 것이다.

전날 시는 불암산 자연환경 등 주변 현황과 연계한 ‘정비계획(변경)·건축·경관·교통·교육·공원·재해 분야’를 통합해 심의했다. 계획안에는 불암산 자연환경을 고려한 높이, 통경축, 스카이라인이 들어갔다.
주택공급 규모는 기존 2437가구에서 741가구 늘었다. 사업성 확보와 더불어 주택수급의 안정과 저소득 주민의 입주기회를 확대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백사마을은 현재 펜스 설치 등 본격적인 철거를 위한 사전 제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11월 착공한다. 2029년 상반기 준공이 목표다.

백사마을은 2008년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고 2009년 주택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사업 진행 도중 당시 사업시행자였던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업을 포기하는 등 난관을 겪었다. 지금은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사업 시행자다.
서울시 규체철폐 4호로 시행된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 재해 분야 확대에 따라 중계본동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이 최초로 재해분야까지 포함한 통합심의 안건이 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백사마을 일대는 도보로 15분 내․외 거리에 강북권역을 대표하는 은행사거리 학원가 및 학군을 갖춘 교육 환경이 조성된 지역”이라면서 “사업 완공 시 불암산 근린공원과 어우러지는 명품 주거단지로 변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충정로역과 아현역 사이에 있는 마포로4구역 제1지구(서대문구 북아현동 876번지 일대) 재개발 사업은 지하 5층, 지상 23층 규모의 공동주택·오피스텔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공동주택 100가구, 오피스텔은 38실이 각 1개동으로 들어선다.
지하에는 근린생활시설과 부대시설이 들어선다. 젊은 예술 작가들이 작품을 자유롭게 전시할 수 있는 문화시설도 조성한다.
대상지가 속한 마포로4구역은 1979년 9월 재개발구역 지정됐다. 서대문구 북아현동, 충정로2가․3가 일대의 총 13개 지구 중 9개 지구는 이미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이 완료된 상태다.
1지구는 북아현동 가구거리 초입부에 있다. 동측으로 충정로역과 서측으로 아현역이 있어 교통 접근성이 우수하나 노후·불량 건축물이 밀집되어 도시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시는 설명했다.

관수동 제8지구 도시 정비형 재개발사업은 종로구 관수동 129-1번지 일대를 지하 9층·지상 25층 규모의 업무시설로 정비하는 것이 골자다.
남측으로 청계천에 인접한 대상지는 지난 2월 정비계획이 수립됐다.
계획안에는 수표로변 지상 1층에는 개방형 녹지와 연계한 개방 공간을 배치하고 2층에는 청계천을 볼 수 있는 공개형 발코니를 만드는 내용이 담겼다.
계천과 수표로로 연결되는 대상지 남서측 부분에는 모든 사람이 접근하기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녹지가 계획됐다.

김포공항과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에 인접한 신안빌라 재건축 정비사업은 강서구 마곡동 327-53번지 일대에 공동주택 8개 동(15층), 총 365가구를 건립하는 내용이다.
대상지는 2012년 정비구역 지정, 2018년 사업시행계획인가 이후 조합설립인가 취소로 사업이 지체됐었다. 이번에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 의결로 사업추진의 원동력을 되찾았다.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자활센터를 기부채납 방식으로 확보한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올해 상반기부터 서울시에서 선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통합심의 대상 확대를 통해 신속한 행정지원과 규제개혁 등의 성과로 연결해 시민주거 안정을 확고히 이뤄나가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