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직접 언급은 안해
‘정책은 정책, 대화는 대화’ 기조
![2019년 판문점에서 만난 북미 정상 [사진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5df5fa8908714346bc4845d5241e3e2b_P1.pn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전제조건 없이 대화할 의사를 갖고 있다고 백악관이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연합뉴스에 따르면,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는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거론한대로) 핵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도 북한과 대화하는 데 열려 있느냐’는 질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어떤 전제 조건 없이 대화하는 것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김정은과 한반도를 안정화시키는 3차례의 역사적 정상회담을 가졌다”고 소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2018년 6월 싱가포르,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 2019년 6월 판문점 등에서 3차례 만난 바 있다. 마지막 판문점 만남은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하는 3자 회동이었다.
백악관 관계자는 또한 “미국의 대북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밝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기존 미국 정부의 원칙과 목표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시사했다.
다만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명시적으로 거론하지 않아 북미 대화의 분위기 조성 측면을 의식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어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입장은 최근 김정은 위원장이 언급한 ‘비핵화 포기 전제 북미정상대화 의향’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 나름의 고민을 거쳐 내 놓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 관영매체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달 2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달 말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정상회의에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계기로 김 위원장과 만날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