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제정, 산업은행 부산 이전 등
주52시간 근무제, 중대재해처벌법 등 불합리성 해소
부산 경제계가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대선공약을 건의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28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부산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의 신속한 제정 등 24개 대선 공약 과제를 담은 ‘부산경제계 제언집’을 만들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부산시당에 전달했다. 부산경제계 제언집은 4대 인프라스트럭처 확충과제로 부산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의 신속한 제정, 한국산업은행 본점 부산 이전, 제2차 공공기관 부산이전, 맑은 물 공급 등을 제시했다.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연합뉴스]](https://wimg.mk.co.kr/news/cms/202504/28/news-p.v1.20250428.8853f07d472149abae12d9b9372da4f4_P1.png)
또 5대 전략과제로 해양수산부 기능 강화 및 부산 이전, 북극항로 구축지원 특별법 제정, 부산에 해사법원 설립, 부산에 해운거래소 설립, HMM 본사 부산 이전 등을 꼽았다. 9대 기업정책 과제로는 주 52시간 근무제, 중대재해처벌법, 대기환경보전법 등 노동·안전·환경 관련 규제의 불합리성 해소와 외국인 근로자 규제 완화 및 쿼터 확대, 가업승계 활성화를 위한 상속·증여세 완화,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도입 등을 들었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이 지난해 9월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입법 촉구 챌린지에 동참했다. [부산상의]](https://wimg.mk.co.kr/news/cms/202504/28/news-p.v1.20250428.4798d94a978c4d66a3427a2d88f8af56_P1.png)
이어 6대 육성과제로 부산형 복합리조트 유치, 전력반도체 특화단지 활성화, 남부권 첨단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소형모듈원자로 산업 육성, 친환경 수소모빌리티·항만산업 육성, 이산화탄소 저장·활용 산업 육성 등을 건의했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국가균형발전이라는 큰 틀 안에서 남부경제권의 거점도시 역할을 수행할 부산경제의 미래성장 전략을 담았다”며 “대선 후보들이 수도권 일극주의에서 탈피해 부산을 비롯한 지방의 목소리에 적극적으로 화답해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