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부모님이 갑자기 우울해한다면...‘이것’ 상실 때문일수도 [생활 속 건강 Talk]

시력 나빠지면 안경끼듯 대화 소리 잘 안 들리면 보청기 착용해 관리해야 치아·잇몸도 노화에 영향 임플란트 틀니도 선택지

  • 심희진
  • 기사입력:2025.05.15 16:00:00
  • 최종수정:2025.05.15 16:00:00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시력 나빠지면 안경끼듯
대화 소리 잘 안 들리면
보청기 착용해 관리해야
치아·잇몸도 노화에 영향
임플란트 틀니도 선택지

50대 A씨는 최근 80대 아버지와 통화하다가 깜짝 놀랐다. A씨가 ‘식사는 하셨는지’, ‘몸은 좀 어떠신지’ 등 간단한 안부를 물었는데도 아버지가 제대로 대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화를 이어받은 어머니는 “요즘 아버지가 이상하게 말귀를 잘 못 알아들으신다”고 걱정했다. 이달 어버이날을 맞아 부모님을 뵈러 간 A씨는 보청기 착용을 권했다.

챗GPT
챗GPT

나이가 들면 청력이 떨어져 주변 소리를 잘 듣지 못하게 된다. 이를 ‘난청’이라고 한다. 난청의 기준이 되는 청력 저하는 크게 5단계로 나뉜다. 일상적인 대화 중에 작은 소리를 듣지 못하는 수준은 경도 난청(26∼40dB), 그보다 좀 더 큰 소리까지 못 들어 불편한 수준은 중도 난청(41∼55dB), 크게 외치는 소리만 들을 수 있어 대화 자체가 어려운 수준은 중고도 난청(56∼70dB), 큰 소리도 거의 들리지 않아 청력 개선을 위한 수술이 필요한 수준은 고도 난청(71∼90dB) 혹은 심도 난청(91dB 이상)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