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보이스피싱 피해 1년만에 2배…AI기술 활용방안 찾을때 [사설]

  • 기사입력:2025.04.27 17:12:18
  • 최종수정:2025.04.27 17:12:18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보이스피싱 범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3월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31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배 증가했다. 건당 피해액도 5300만원으로 전년보다 2.8배 늘었다. 이런 추세라면 연간 피해액이 1조원을 훌쩍 넘을 수도 있다. 특히 디지털 환경에 취약한 50대 이상 피해자 비율이 53%에 달한다는 점은 더욱 우려를 키운다.

범죄 수법도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기관 사칭형 범죄가 51%를 차지하는 데다 '악성 앱' 설치를 통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카드 배송 알림, 대출 신청 안내, 사건 조회 통지 등의 방식으로 접근해 피해자의 휴대전화에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식이다. 악성 앱을 통해 탈취한 개인정보를 이용해 통화내용 녹음, 원격제어, 실시간 위치정보 확인까지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금융감독원·검찰·경찰 등 실제 전화번호를 80개 도용하고, 강제수신·강제발신 기능을 이용해 피해자들이 의심할 여지를 차단했다.

이처럼 보이스피싱은 첨단 기술을 악용해 빠르게 진화하는데 우리의 대응은 여전히 경고 문자 발송 등 구시대적 방식에 머물러 있다. 개인의 주의만으로는 고도화되는 신종 수법에 대응하는 것이 한계에 이른 만큼 첨단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대응책이 필요하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보이스피싱 패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방어망을 구축해야 한다. 통신사와 금융기관, 수사기관이 협력해 악성 앱 설치를 탐지하고, 의심스러운 통신 기록과 거래를 경고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도 시급하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 취약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정부와 금융기관은 구체적 피해 사례와 새로운 수법을 신속하게 공유하는 플랫폼 구축도 필요하다.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개인 피해를 넘어 사회의 신뢰를 갉아먹는 심각한 범죄다. 첨단 기술로 무장한 범죄는 첨단 기술로 제압하는 게 답이다. 정부와 민간이 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함께 대응해야 할 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